4차산업혁명이 국가의 주요 어젠다가 되면서 기술에 대한 추구와 동시에 그 반대급부로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는 인본주의도 주목을 받고 있다.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 및 사용자경험(UX) 부문에서 ‘인간중심 디자인’을 적용하려는 시도도 확산되는 추세다. 최근 애플의 행보에서 볼 수 있듯이 IT 기술은 세련된 마케팅을 적용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경험까지 중시할 때 비로소 성공의 길이 열리는 경우가 많다.
인간중심 디자인은 복잡함을 길들여 인간이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 디자인주의를 가리킨다. 도널드 노먼이 인본주의, 공리주의, 기능주의 등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창안한 이래 잉바르 캄프라드, 필립 스탁, 스티브 잡스 등의 디자이너가 현실에서 구체화시켰다. 특히나 애플은 스마트폰 제조에 인간중심 디자인을 적용시킨 대표적인 사례다. 이 글에서는 애플의 인간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미시적인 미적 디자인을 뛰어넘은 거시적인 지적 디자인으로서의 인간중심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came the main agenda of the country, humanism, which seeks for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explores the inside of human beings with the opposite benefit,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In practical terms, attempts to apply “human-centered design” in the user interface (UI) and user experience (UX) sectors are also spreading. As can be seen from Apple's recent moves, IT technology often opens the way to success when it focuses on user experience beyond applying sophisticated marketing.
Human-centered design refers to designism that tames complexity and makes it easier for humans to use. Since Donald Norman was inspired by ideas such as humanism, utilitarianism, and functionalism, designers such as Ingvar Kamprad, Philippe Starck, and Steve Jobs have embodied them in reality. In particular, Appl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pplying human-centered design to smartphone manufacturing. In this article, by looking at the case of human-user-centered design of Apple, we looked at the case of human-centered design as a macroscopic intellectual design that transcends microscopic aesthetic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