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수고 및 흉고직경 측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the Measurement of Tree Height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김동현 ( Dong-hyeon Kim ) , 김선재 ( Sun-jae Kim ) , 성은지 ( Eun-ji Sung ) , 김동근 ( Dong-geun Kim )
DOI 10.14578/jkfs.2021.110.1.72
UCI I410-ECN-0102-2022-500-000594277

본 연구는 다양한 임목 정보를 측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를 개발하였다. 수고, 방위, 고도, 경사, 위치 좌표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동작센서를 통해 취득된 각도를 삼각법에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흉고직경 및 거리는 Google AR Core에서 제공하는 AR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응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스마트폰이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조회, 출력하고 수목의 위치를 카카오 맵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공 침엽수림에서 잣나무 90본, 천연 혼효림에서 무작위로 90본을 선정하여 버텍스 및 윤척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흉고직경과 수고 모두 95%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흉고직경의 경우 인공 침엽수림이 평균 0.6745 cm, 천연 혼효림에서는 평균 1.0139 cm의 오차를 보였다. 수고는 인공 침엽수림이 평균 0.6714 cm, 천연 혼효림은 평균 1.3297 m의 오차를 보였다.

We developed smartphone application and web application server to acquire and effectively manage tree measurement information. Smartphone applications can measure tree height,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zimuth, altitude, slope, and positional coordinates using augmented reality (Google AR core) and motion sensors. The web application server effectively manages and stores measurement information. To evaluat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acquired using a smartphone, 90 Korean pine trees (Pinus koraiensi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natural mixed forest, with a total of 90 representative trees randomly collected from a natural mixed forest. Then, height and DBH were measured using a Haglof Vertex Laser Hypsometer and caliper. Comparisons of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results at the 95% level and a very high average correlation of 0.972 for both tree height and DBH. In terms of DBH, the average errors were 0.6745 cm and 1.0139 cm for artificial coniferous and natural mixed forests, respectively.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