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5.138.214
3.15.138.214
close menu
KCI 우수
국한혼용문의 현대화와 보조 용언 구성의 변화
On the Modernization of the Mixed-Scripts and the Use of so-called Auxiliary verbs
한영균 ( Han Younggyun )
국어학회 2021.03
국어학(國語學) 97권 3-30(28pages)
DOI 10.15811/jkl.2021..97.001
UCI I410-ECN-0102-2022-700-000598524

이 글은 근대 계몽기 국한혼용문의 현대화가 한문구 용언의 해체, 보조 용언의 환원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을 근대 계몽기부터 일제 강점기의 후반에 이르는 시기의 국한혼용 논설문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국한혼용문의 현대화 과정에서 보조 용언 구성이 구현되는 방식을 세 시기의 신문 사설 텍스트에서 확인되는 용언류의 사용 양상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바탕으로 살폈다. 3장에서는 한글로 표기된 보조 용언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인지를 시기별로 용례와 함께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근대 계몽기의 국한혼용문에서는 고유어 보조 용언을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는 사실을 《서유견문》 및 1900년대 학술지 논설문에 대한 검토를 통해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근대 계몽기 및 그 이후의 국한혼용문에 쓰인 한문구 용언의 구성에서 한국어의 보조 용언의 수용 방식을 정리하고, 한문구 용언에 포함하여 표현하던 보조 용언을 오늘날과 같이 고유어를 이용하여 표현하게 된 배경을 살폈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modernizing processes of the Mixed-scripts using editorials which are published during 1910-1935 focusing on the verb phrase especially so-called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The contents of the paper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2, the author analysed the usage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in the editorials on statistic bases. In chapter 3, the lists and examples of each auxiliary verbs are exposed. In chapter 4, the author examined how the auxiliary verbs are expressed in Sino-Korean verbs in the early stage of modernization and described why the Sino-Korean verbs phrases were decomposed and expressed in Korean.

1. 서론
2. 국한혼용문에서의 용언류의 사용 양상 분석
3. 보조 용언류 사용의 확대 양상
4. 한문구 용언에서의 보조 용언의 한자화와 그 현대화 과정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