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스마트폰 사용 보행자의 안전성 제공을 위한 알람서비스에 관한 연구: Depth-based alarming 적용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alarm service for providing safety for pedestrian using smartphone: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depth-based alarming
김지윤 ( Ji-yoon Kim ) , 조영화 ( Young-hwa Jo ) , 정재훈 ( Jaehoon Jeong )
UCI I410-ECN-0102-2022-500-000427319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스마트폰의 보급률에 맞물려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보행자 교통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전세계적으 로 이에 관한 연구 또한 꾸준히 증가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인구대비 스마트폰 보급률이 세계 최고 인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 중 교통사고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젊은층의 산만 보행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과학 분야 의 주의 네트워크 연구를 바탕으로 보행자의 안전도 향상은 물론, 스마트폰 이용자의 사용성을 고 려한 depth-based alarming 서비스를 제안한다.-본 연구는 스마트폰 애#리케이션을 제작하여 국내 20 대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피험자내 설계로 진행되었고, 보행자의 안전도에 관련한 무선조종 자동차에 대한 반응속도와 충돌여부를 측정하였고, 또한 앱 사용성에 관련한 방해도 및 만족도를 설문을 통해 죽정하였다. 본 연구는 위험 상황을 알리는 alarm 을 제공하기 전에 미리 pre-alarm 을 제공하는 depth-based alarming 을 디자인 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pre-alarm 제공시 alarm 에 대 한 보행자의 반응 속도가 1.446 초 향상됨을 통계적 유의성을 통해 입증함으로써 pre-alarm 을 제공하 는 depth-based alarming 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