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0
216.73.216.130
close menu
KCI 후보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꽃문양에 관한 연구-샤넬, 루이비통, 에르메스, 마리몬드를 중점으로-
A Study on Flower Patterns in Fashion Brands : Focusing on Chanel, Louis Vuitton, Hermès, and Marimonde
홍윤주 ( Hong Yun Joo )
UCI I410-ECN-0102-2022-600-000510374

미를 대표하는 아름다움의 상징인 꽃은 인류의 역사를 통해서 미적 대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조형예술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티브 중의 하나이다. 이렇게 꽃예술은 꽃이라는 주제를 모티브 삼아 형태를 구현하는 예술이다. 꽃은 형태와 색채가 미적으로 조화롭게 인간의 감성을 표현해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해주었다. 또한 상징성이 있는 꽃문양은 미적 장식성이 높아 생활용품 뿐만 아니라 미술 분야와 패션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꽃문양은 패턴 중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는 문양으로 사계절 관계없이 다채로운 색상과 형태로 변화를 주어 다양하게 활용하기도 하며, 그 상징성과 인간의 심리적 감각을 자극하는데 효과적이므로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를 대표하는 아름다움의 상징이며 예술의 모티브인 꽃의 문양이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되어 왔으며 현대에 와서도 여전히 패션과 예술에서 많이 사랑받고 있지만 우리나라 고유한 꽃문양을 사용한 브랜드가 좀 더 활발히 활동하기를 바라며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우리만의 독특한 꽃문양을 개발하여 이것이 상품화 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flower, a symbol of beauty representing beauty, exists as an aesthetic object throughout the history of mankind, and is one of the motifs most often used in plastic art. In this way, flower art is an art that embodies a form based on the theme of flowers. The flowers played a role in expressing human happiness and love by harmonizing beautifully with each other in shape and color. The flower pattern containing this symbolism is beautiful and excellent in decoration, and is applied not only to household goods, but also to art and fashion. The flower pattern is the most preferred pattern among patterns, and it is widely used regardless of the four seasons by changing the color according to the color and flowering time, and it is effective in stimulating the symbolism and psychological sense of humans, so it is used in design in various fields. In this study, the flower pattern, which is a symbol of beauty representing beauty and the motif of ar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Korea, and is still loved in fashion and art even in modern times. We hoped to be active, and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our own unique flower pattern and lay the groundwork for it to be commercialized.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