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스마트월 기반 공간 영상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mart Wall-Based Spatial Image Design
김성훈 ( Kim Sung-hoon )
DOI 10.25111/jcd.2021.74.05
UCI I410-ECN-0102-2022-600-000510061

본 연구는 스마트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함께 IOT기술 기반의 미디어가 다양한 생활 공간에 침투하고 있는 환경에서 스마트월의 활용성을 향상하기 위한 공간 영상 디자인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스마트월의 공간 유형은 주거 공간, 사무 공간, 공공 공간으로 분류하였다. 각 공간에 위치하는 스마트월 사용자의 공간 특성 기반의 행태를 분석하고 행태 특성에 맞는 경험의 확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간 사용자 경험 확장 요인으로 상징성, 정보성, 개방성, 상호작용성을 도출하였고 각 확장 요인의 작용 요소로 형태적 관심, 행태적 지원, 몰입적 감응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 조사 실시와 결과 분석을 통해 주거 공간에서는 정보성, 사무 공간에서는 정보성, 공공 공간에서는 상호작용성이 유의한 경험 확장 요인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론은 추후 스마트월의 활용에 있어 공간 영상 디자인의 적용 방안의 자료로써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atial image desig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smart wall in an environment where IOT technology-based media penetrates various living spaces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media technolog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smart wall space types were classified into residential space, office space, and public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ehavior of smart wall users located in each space based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expansion factors of experience that fi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symbolicity, informationality, openness, and interactivity were derived as factors for expanding spatial user experience, and morphological interest, behavioral support, and immersive sensation were composed as operating factors of each expansion factor. Based on this, through conducting a survey and analyzing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ality in the residential space, the informationality in the office space, and the interactivity in public empathy were significant expansive factors. The conclusions drawn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for the application plan of spatial image design in the future use of smart wall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