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에 대한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인식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o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신은지 ( Eunji Shin ) , 최원호 ( Wonho Choi )
UCI I410-ECN-0102-2022-300-000517223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소재의 국립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을 실시하여 STS 관계와 수업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 후 학생들은 STS 관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과학 영재 학생들은 실험 도구와 기술이 과학이론 발전에 기여하며, 과학 기술만으로 모든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어려우며, 과학이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또한 과학 영재 학생들은 동일 주제로 여러 시간 진행한 집중 탐구, 동료 평가 등을 이용한 다른 조원과의 의사소통, 같은 조원과 문제를 해결하는 의사소통, 탐구 과정에서 도구를 개선하는 활동, 익숙한 재료와 현상을 이용한 탐구 등을 통해 STS의 관련성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중학생 대상의 과학 영재 수업에서 학생들이 STS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도구를 활용한 문제 해결 경험, 동일 주제로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 경험, 연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도구의 개선 경험, 동일한 주제로 탐구 활동을 진행하는 동료와의 의사소통 경험, 다른 조와 탐구 결과를 공유하는 경험, 학생에게 익숙한 소재와 현상을 이용한 탐구 활동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a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with emphasis on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for 10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National University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in Jeollanamdo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TS (science technology society) relationship and students’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class. After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the students became aware of the STS relationships as follows: Science-gifted students have come to perceive that experimental tools and technolog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eory,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all social problems with only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at science is a social interaction activity. In addition, science-gifted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became aware of the relevance of STS through intensive inquiry conducted on the same subject for several hours, communications with colleagues in another group through peer reviews, communication to solve problems with colleagues in the same group, activities to improve tools in the process of inquiry, inquiry using familiar materials and phenomena. In order for students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relationship of STS in science-gifted cla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xperience to solve problems using various experimental tools, experience to have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solving inquiry problem under the same subject, experience to improve tools in the process of solving inquiry problem, experience to communicate with colleagues who conduct inquiry activities under the same subject, experience to share the results with other groups, and inquiry activities using familiar materials and phenomena.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국문요약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