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해(徐嶺海, 1902~1956?)는 3·1운동을 기점으로 프랑스에서 열렬히 활동했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활동가로, 본 연구는 그의 삶과 교육활동을 조명해보고 그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영해의 삶을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부산에서 태어나서 서당과 학교를 통해 학창시절을 보낸 제1의 학생으로서의 삶, 둘째, 프랑스로 유학을 떠나 초등교육부터 고등교육까지 프랑스 정규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한 제2의 학생으로서의 삶, 셋째, 파리에서 고려통신사를 설립하여 임시정부 주 프랑스 특파원의 임무를 다하고,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알리기 위해 저술 활동도 더불어 한 독립운동가로서의 삶, 넷째, 해방 후 한국으로 건너와 서울에서 프랑스어 교재를 만들고 프랑스어를 가르치는 등 교사로서의 삶이다. 이러한 삶을 바탕으로 살펴본 그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를 탄탄하게 하는 것, 둘째, 바른 과정을 걷는 것, 셋째, 인류애를 위하는 것, 넷째, 실천하는 삶을 사는 것으로 볼 수 있다.
Seu Young-hae (徐嶺海, 1902-1956?) was an independent activist and education activist who was active in France starting with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s a result, Seu Young-hae’s life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as a first student who was born in Busan and spent school days through Seodang (書堂) and school. Second, as a second student who completed all of the French regular education courses up to education. Third, he established a Korean news agency in Paris to fulfill the mission of the French correspond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o write an independent activist to write about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Korea. Fourth, after Independence, she moved to Korea, made French teaching materials in Seoul, and taught French.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we looked at based on this life is as follows. First, solidifying the foundation, second, walking the right process, third, for humanity, and fourth, living a life of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