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한반도가 중세 일본의 신국사상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는지 밝히고자 했다. 중세 일본인들은 한반도라는 거울을 통해 일본은 ①신이 가호하는 나라라는 점, ② ‘粟散邊土’임에도 구원의 계기가 내재하고 나아가 불교 융성의 면에서 적어도 한반도 보다 열위에 위치한 나라가 아니라는 점, ③인도나 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나아가 무위의 측면에서 비교 우위에 설 수 있는 나라라는 점을 확인했다. 이 가운데 오로지 한반도라는 거울을 통해서만 확인되는 신국 일본의 면모는 무위였다. 신공황후의 삼한정벌전설은 일본인들로 하여금 처음으로 ‘신국’을 상상하게 했으며, 중세 일본을 촘촘하게 에워싸고 있던 불교적 세계관으로부터의 탈주도 상상하게 했다. 이처럼 한반도에 할당된 고유의 역할과 기능은 신국 일본의 무위를 드러내는 일이었으며, 그에 연동하여 실체로서의 한반도가 자아내는 다른 이야기들은 지워지거나 탈맥락화했다.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role and function of Korea in the medieval Shinkoku Thought(神國思想). The medieval Japanese thought as follows through the mirror of Korea. That is, ①Japan is a country protected by God, ②there is an inherent opportunity for salvation in Japan, ③Japan is a country that can stand shoulder to shoulder with India and China. What was particularly emphasized in relation to Korea was the Bui(武威). The legend of the Three Han Conquest(三韓征伐) of the Empress Jingu(神功皇后) led the Japanese to imagine Shinkoku for the first time, and also a breakout from the Buddhist three country worldview(三國世界觀) that regards Japan as inferior. Since the unique role assigned to the Korea was to reveal the Bui of Shinkoku Japan, other stories of Korea were erased or decontextua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