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속에서 음성대화처리 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목적형 인공지능 챗봇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영어 및 외국어 교육에서 활용 할 수 있는 음성대화처리 기술 기반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수준은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음성대화처리 기술을 융합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외국어교육에 어떻게 활용 할 수 있을지에 관한 연구도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외국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음성대화처리 기술을 융합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적절한 활용방안 및 교수·학습 방법론을 탐색하고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 속에서 음성대화처리 기술이 탑재된 대화형 영어학습 프로그램을 정규 초등영어 수업에 접목함으로써 효과적 활용방안을 탐색하고, 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양상을 바탕으로 효과적인교수·학습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크게 음성대화처리 기술 기반 챗봇을 1) 오프라인 수업, 2)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3) 온·오프라인 혼합수업의 3가지 방식으로 적용한 후 이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활용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양상을 분석하여 초등영어교육에서 음성대화형 챗봇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흐름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학습 상황에 음성대화처리 기술이 탑재된 대화형 영어학습 프로그램을 학습의 도구로 활용하되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학습전략 및 의사소통 과업의 구안 및 적용, 챗봇 활용 말하기활동 시 입력 활동과 출력 활동을 연계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한다. 더불어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해당 프로그램의 기술적 오류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표출한바 이는 학습 역동성에 민감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바와 같이 음성대화형 챗봇 프로그램이 초등영어교육에서 효과적인 학습 도구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에서의 처치와 더불어 프로그램의 기술적 완성도 역시 제고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는 바이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service programs containing voice dialogue-based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society. However, there seems to be no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using these technologies in English education field. In this paper, such relevant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discussed.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tegrate a dialogue-based chatbot program into regular elementary English classes, explore effective ways to utilize it, and establish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various aspects of the learning proc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ialogue-based chatbot was applied in three ways: 1) offline classes, 2)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and 3) online and offline blended classes, and the effect of this was explored. In addition, various aspects of the application process were analyzed and the effective flow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presented as a model to maximize the use of dialogue-based chatbot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in order to utilize interactive English learning programs equipped with dilogue-based chatbot as a learning to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lesson planning, and also app activities should be linked to input-based and output-based activities. Also, the program’s technical errors and incompleteness need to be enhanced to act as an effective learning as it has a sensitive and critical effects on learning dyna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