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0
216.73.216.20
close menu
KCI 등재
프로스포츠 마스코트 캐릭터에 대한 수용자의 선호 유형 연구 -야구, 축구, 농구 국내 3대 스포츠 구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e of Recipient Preference for Professional Sports Mastcot Characters -Focus on baseball, soccer, basketball, and three major sports teams in Korea-
박재모 , 이종윤 , 홍장선
DOI 10.25111/jcd.2020.72.15
UCI I410-ECN-0102-2022-600-000397006

한국 프로스포츠 구단들은 마스코트 캐릭터를 개발하여 팀의 아이덴티티를 빠르고 명확하게 사람들에게 전달하고 팀의 호감도를 높이며 새로운 수익 창출을 얻고자 하고 있다. 또한 캐릭터 산업은 문화의 차이를 뛰어넘고 효율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마케팅 측면에서도 미래 콘텐츠 산업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의 캐릭터 산업은 주로 만화, 애니메이션, 상품 캐릭터에만 편중되어 있다. 일부 키덜트 캐릭터들을 빼고는 소비 여력이 충분한 성인 대상 캐릭터의 개발 역시 미흡한 상황이다. 이런 현재의 캐릭터 상황에서 국내 프로스포츠 마스코트 캐릭터가 차지하고 있는 의미와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축구, 야구, 농구 프로스포츠 구단을 대표하는 32개 마스코트 캐릭터들이 나타내고 있는 상징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선호유형에 관하여 그 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인간의 주관성 연구방법인 Q 방법론을 활용하였고, QUANL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총 32개의 Q 표본과 23개의 P 표본(사람)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독특성을 지닌 3개의 유형을 최종 발견하였다. 제1유형은 스포츠 상징성 강조형, 제2유형은 귀엽고 세련된 호감형, 제3유형은 전문적 디자인 현실형으로 캐릭터 마스코트의 수용자들은 각기 자신들의 주관적인 성향에 의해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용자가 캐릭터를 선호하는 주관적 선택의 유형을 알아보는 것으로 추후 스포츠 구단들에게 좀 더 적극적인 캐릭터 개발과 합리적이고 완성도 높은 캐릭터 개발에 기준이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스포츠 마스코트 캐릭터에 대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로서 학문적, 산업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의 확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예측해 본다.

Professional sports clubs want to develop mascot characters to quickly and clearly communicate the team's identity to people. This is because it will increase the team's favorability and generate new revenue. The character industry also has effective visu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at go beyond cultural differences.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rketing and in future content industry. Yet the domestic character industry is mainly focused on cartoon, animation and commodity characters. Except for some kidult characters, the development of adult characters that can be consumed is insufficient. In this current character situation, the meaning and role of professional sports mascot characters are very big. Therefore, the study looked at the symbolic elements represented by 32 mascot characters representing soccer, baseball and basketball professional sports teams. The research design was a Q-methodological Approch and analyzed using a QUANL PC program. Through this process, three distinct factors(types) were finally discovered. Type 1 is the sports symbolism emphasis type, Type 2 is cute and stylish likable type, Type 3 is professional design reality type. The inmates of the character mascots could see that their own subjective tendencies were causing differences. This is a study that identifies the subjective choice that inmates prefer characters. It will serve as a standard for sports clubs to develop more active characters and rational and high-quality characters in the future. It is also hoped to contribute to meaningful research academically and industrially as objective and empirical research on sports mascot characters.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설계 및 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