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상반기 코로나19로 인해 학생의 등교가 제한되면서 대학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교육 활동이 급감하였다.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은 비대면으로 전환되었지만, 비교과 활동이나 다양한 상호작용의 위축은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의 전반적인 학습성과를 확인하고 결손이 나타난 부분을 보완하도록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대면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비교하고,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학습성과 상·하위집단을 구분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1월과 2020년 5월 A대학에서 실시된 K-NSSE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의미학습, 자기주도학습, 효과적 수업전략, 고효과 프로그램, 대학몰입 등 다섯 요인이었다. 대면교육 환경에서는 유의미학습, 효과적수업, 대학몰입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과 고효과 프로그램의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학습성과의 하위 영역인 의사소통역량, 전공·직무역량, 핵심역량을 설명하거나, 학습성과 상·하위 집단을 구분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유의미학습이었다. 논의 부분에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수업 및 교육환경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제고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nexpected outbreak of Covid-19 forced the universities to transform from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to online synchronized or asynchronized education. The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campus had plummeted and the students’ learning outcomes had decli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outcomes in the online education to face-to-face education last year,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of learning outcome. K-NSSE survey data conducted at A University in November 2019 and May 2020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ive factors such as meaningful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high impact programs and integration in university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Meaningful learn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learning outcomes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to divide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of learning outcome.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eachers in redesigning the courses and for providers in encouraging students’ meaningful learning.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the current learning outcomes of higher education in Covid-19 pandemic and contribute to establish the response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