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과 더불어 경제 활동이 활발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액티브 시니어’가 새로운 소비자로 자리 잡았다. 현재 이들 중 남성보다 여성에게 정서적 안정이 결여되는 증상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반려 동물과 식물을 키우면서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기도 한다. 시장에서는 이들을 위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반려 산업’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점차적 사회생활에서의 고립이 사회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는 정서적 안정 요소의 결여를 예방하기 위해 ‘여성 액티브시니어의 정서 안정을 위한 새로운 반려 디바이스’ 개발 시 반영해야 할 핵심 기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문헌 조사를 통해 기존 반려 디바이스 개발 사례의 유형과 기능을 파악하고 액티브 시니어의 정서적 측면에 대해 이해하였으며 반려동식물을 통해 정서적 안정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정성적 안정 요소로 여성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반려동식물의 정서적 안정 선호 요소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선호도 분석 결과 반려동식물의 가장 선호하는 요소는 ‘쓰다듬기’, ‘대화하기’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소를 기반으로 ‘물리적 접촉’, ‘대화’, ‘감정표현(소리, 표정, 움직임)’ 3가지 구현 요소를 정서적 안정을 위한 새로운 반려 디바이스의 핵심 기능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여성 액티브 시니어의 정서 안정을 위한 반려 디바이스의 초기 연구로써 의의를 두고, 향후에 시니어를 위한 반려 디바이스를 개발하거나 연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앞으로 그들의 정서 안정을 위한 반려 디바이스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Background South Korea officially became an ‘aged society’ in 2017, where ‘active seniors’ who try to lead an active and independent life become a new type of consumers. Currently, female seniors tend to have more issues with emotional health than male seniors do, and they attempt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by raising companion animal, plants. With the release of products for them in the market, the ‘companion industry’ is emerging as a new trend. In order to prevent the lack of emotional stability that gradually leads social problems, this study sought to derive core functions to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a ‘new companion device for female active seniors’.
Methods The types and functions of existing companion device development cases were identified, the emotional aspects of active seniors were understoo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motional stability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companion animal, plants. A survey of female active senior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ir preference for emotional stability in companion animal, plan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preference analysis, the most preferred factors of companion animal and plants were ‘rubbing’ and ‘talking’. Based on these factors, three elements of ‘physical contact’, ‘talking’ and ‘emotional expression(sound, facial expression, movement)’ are presented as core functions of a new device.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n the initial study of companion devices for emotional stability of female active senior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researching the devices for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