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중학교의 과학교사 49명과 학생 772명을 대상으로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와 학생들은 과학 탐구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수행평가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평가 시간의 부족, 학습 진도 부담, 학생 수의 과다로 인한 수행평가의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구현하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 교사들의 수행평가 실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우수하게 이루어진 실제 수행평가 사례를 소개하여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학생들은 수행 과제의 내용과 채점 기준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지만, 성적이 하위 수준인 학생들의 이해도는 낮다. 수행평가를 받을 때, 학생들이 겪는 큰 어려움은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모둠원이 있다는 것이며, 수행활동에 필요한 기능을 평가 이전에 충분히 배우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행평가의 개선을 위해서는 수행평가 사례를 이용한 교사 연수의 실행과 함께 학생 참여형 수업과 수행평가 운영이 연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mong 49 science teachers and 772 student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was high in scientific exploration an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performance assessment due to lack of assessment time, burden of learning progress, and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and are making great efforts to realize fairness and objectivity in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ability to conduct performance assessment,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most effective to introduce actual performance assessment cases that have been performed well at school sites. Many students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grading criteria of their performance assignments, but the level of understanding among those with lower grades is low. The great difficulty that students face in performance assessment is that there is a group member that does not play a role, and that they do not learn the functions required for performance activities before the assessment. Therefore, to improve performance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link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to performance assessment operation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training using performance assessment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