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무안(務安) 박씨(朴氏) 무의공파(武毅公派)의 형성(形成)
The formation of Muan Bakssi muuigongpa
장준호 ( Jang Jun-ho )
한국계보연구 10권 89-120(32pages)
UCI I410-ECN-0102-2022-900-000412772

본고는 영남의 명문가 중 하나인 무안 박씨 영해파가 재지적·사회적 기반을 확립해 가는 과정과 무의공파라는 문중의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해 가는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무안 박씨는 朴之蒙의 혼인과 이거를 계기로 영해에 정착하였다. 영해의 무안 박씨들은 박지몽의 입향 후 分家의 반복을 통해 지연에 기초한 동족조직을 형성하였다. 입향 초기 무안 박씨 문중은 재지적·사회적 기반이 취약하였다. 이후 4대에 걸쳐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면서 儒風을 진작시켰고, 퇴계 문인으로 활동하면서 학문적 기반도 공고히 할 수 있었다. 재지적·학문적 기반을 확대해 가던 무안 박씨 문중은 朴毅長 이후 家格이 보다 신장되었다. 그는 임란 기간 동안의 전공으로 선무원종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 그는 임진왜란시 경주판관으로 자신의 임지인 경주성을 탈환하는 전공을 올렸고, 이후 일본군의 재북상을 차단하고 경주 府民을 구휼하는 등 목민관으로서의 역할도 차질 없이 수행하였다. 공신 책봉은 가격의 신장과 문중의 결속을 강화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박의장에게 호조판서의 증직이 내려지면서 무안 박씨 문중은 판서의 후예라는 소속감과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 박의장의 사남 朴瑄은 爲先 사업을 주도하면서 문중 후손들의 결속을 강화했고, 府君의 전적을 수습·정리하였다. 그는 여헌의 문인으로 동문수학했던 知友들에게 박의 장의 墓誌銘과 神道碑銘의 찬술을 부탁하면서 祠宇 건립을 위한 여론을 환기시켰다. 박선의 위선을 위한 노력은 후손에게 이어졌다. 朴師周는 존주의리를 강조하는 正祖대의 분위기 속에서 贈諡上言을 올려 武毅라는 시호를 받아냈다. 박의장은 시호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이었지만, 시호의 사여는 박의장 후손들에게 의미가 매우 컸다. 즉 시호의 사여는 경주성 탈환 전투의 공로를 조정으로부터 인정받았다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경주성 탈환 전투에 대한 박의장의 공로를 인정받는 것은 무안 박씨 문중의 宿願이기도 했다. 따라서 延諡는 박의장의 임란 공적을 조정으로부터 확인받은 것임과 동시에 박의장의 후손이라는 정체성을 보다 강화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후 무안박씨 문중은 武毅公의 후예라는 정체성을 갖고 사회적 기반을 보다 공고히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a social identity of Muan Bakssi(務安 朴氏), a member of a prestigious family in Yeongnam. the Muan Bakssi of Yeonghae(寧海). After Bak Ji-mong(朴之蒙) had moved to London, a group of the same surname was formed when his children got married. Their social base was weak right after they moved to Yeonghae. They expanded their social base in Yeonghae by producing bureaucrats and learning from Yi Hwang(李滉). The Munjung of Muan Bakssi 's status was higher than before because of Bak Ui-jang(朴毅長). It was because Bak Ui-jang established his major in Imjinwaeran(壬辰倭亂) and was appointed to a gongsin(功臣). This further strengthened the Munjung's solidarity and took strong pride in being a descendant of Bak Ui-jang. After Bak Ui-jang 's death, the government raised the ranks, and his descendants prided themselves as descendants of the Hojo panseo(戶曹判書). Bak Ui-jang's son Bak Sun(朴璿) did many things to honor his father's achievements. He took the lead in explaining and organizing his father's achievements. Bak Sun's efforts paid off by his descendants. Bak Sa-Ju(朴師周), a descendant of Bak Ui-jang, asked King Jeongjo(正祖) to gived him a posthumous title. King Jeongjo gaved Bak Ui-jang the a posthumous title "MuUi(武毅)". Bak Sa-Ju's efforts made Bak Ui-jang's contributions during Imjinwaeran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and Bak Ui-jang's descendants became the descendants of war heroes.

1. 머리말
2. 무안 박씨의 영해 입향과 寧海派의 형성
3. 임진왜란기 朴毅長의 활약과 후손들의 事蹟 정리
4. 朴師周의 贈諡上言과 武毅公派의 형성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