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은 ‘칠정은 사단을 포함한다(七情包四端)’는 명제를 세웠다.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는 七包四 진술은 퇴계와 고봉 간의 제1차 사단칠정 논변에서 이미 고봉이 제기하였고, 퇴계 또한 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율곡의 七包四 명제는 퇴계ㆍ고봉을 비롯하여 많은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칠포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의미들을 함의한다. 이 글은 그 차이를 두 가지로 정리하여 드러낸 것이다.
일반의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七包四는 다음 두 사실을 前提로 하고서 칠정은 사단을 포함한 모든 情의 전체집합 명칭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 四端과 七情은 근본적으로 성격을 달리 하는 두 부류의 情의 집합이며, 둘째, 사단의 善ㆍ惡과 칠정의 선ㆍ악은 각각 긍정된다. 반면에 율곡이 말하는 七包四는 사단을 별도의 한 부류의 情 집합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율곡에 따르면 사단은 칠정 중 善한 정들의 일부를 지칭한다. 그리고 어느 情이 되었든, 모든 정은 도덕가치와 직접 관련이 있다.
Lee Yul-gok confirmed the proposition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The perception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had already been proposed by Ki Ko-bong in the 1st four-seven debate; the opposite debater Lee T’oe-gye did not deny the perception. However, Lee Yul-gok’s assertion has different meanings which distinguishes it from the perception of other Neo-Confucians, including Lee Toe-gye and Ki Ko-bong. Focusing on these two points, the author discusses the differences.
Usually, the term “seven feelings” of saying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means the whole human emotions, and the saying is based on two assumptions: one,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feelings are two different collections of human emotions, namely two categories of human emotions; and two, good or bad of the four beginnings are distinguished from the good or bad of the seven feelings. On the other hand, by saying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Lee Yul-gok did not place the four beginnings under another category of human emotions. According to Lee, the so-called “four beginnings” refers to some good ones of the seven feelings. And whatever the case, none of the human emotions is irrelevant to moral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