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55
216.73.216.55
close menu
KCI 등재
정좌(靜坐)에 대한 연구
A Little View on the “Quiet-sitting” (Jeong-jwa, 靜坐)
高惠林 ( Koh¸ Hye-rim )
유교사상문화연구 70권 257-285(29pages)
UCI I410-ECN-0102-2022-100-000229595

靜坐란 고요히 바로 앉아 마음을 가라앉히는 것을 말한다. 정좌는 건강과 심신의 안정을 찾기 위해 행해지기도 하고 또는 존재의 근원을 연구하기 위하여 행해지기도 하는 등 시대에 따라 혹은 학파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학파에 따라 정좌이론은 정좌의 자세부터 방법, 효과, 현상, 이치, 궁극의 경지까지 학파마다 모두 다르다. 하지만 한 가지 같은 점이 있다면 이는 바로 현실의 자신의 몸과 마음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즉 몸과 마음에 반응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정좌는 몸이 마음을 따르는 것으로써 정좌는 하나의 실천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천을 뒷받침하는 철학적인 근거는 인성론에 있다. 이러한 정좌는 불교와 도교의 정좌, 유교의 정좌, 여러 가지 다양한 정좌가 있다. 이중 불교의 정좌는 “고요히 앉아 있다〔靜坐〕”는 것으로 선승의 참선하는 모습이 대표적이다. 유학자들이 말하는 정좌는 매우 다양한 의미가 있다. 유학자들은 선승이 참선할 때의 자세도 정좌라고 하지만, 책상에 앉아 독서할 때의 자세도 정좌라고 한다. 또한 바둑을 두거나 낚시를 하거나 고요히 앉아있는 자세도 정좌라고 한다. 이처럼 유학자들에게 정좌라는 말은 매우 다양하게 쓰여 져서 그 개념을 일률적으로 정의를 내리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정좌는 고요히 앉아서 정신을 집중하며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것만은 다르지 않고 같다고 볼 수 있다. 정좌의 효과는 오늘날에는 우리 몸과 관련된 뇌과학, 심리학 등 여러 과학의 연구로도 증명되고 있다. 고요한 상태가 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것이 어떤 효과를 가져 오는지를 과학과 의학을 통해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종교인들이 묵상을 통해서 마음을 다스리는 것과는 별개로 일반인들에게는 명상이나 참선의 효과가 널리 알려져 정좌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동시에 과학의 발전은 사람들의 몸과 마음의 관계를 훨씬 가깝게 하였다. 이처럼 사람들마다 정좌를 하는 목적은 다르지만 정좌의 참된 목적은 관념적인 유희에 머물거나 질병의 치유에 있지 않고, 건강하게 살거나 마음의 안정 및 존재의 근원 등을 탐구하는데 있다.

"Quiet-sitting" (Jeong-jwa, 靜坐) is to calm oneself, and the reason and purpose for sitting quietl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not only in modern times but also in the past. It has many reasons and purposes, such as for health, for finding mind and body rest, for a study on the root of existence, etc. Like this, various theories of Quiet-sitting differ from school to school ranging from the posture of Quiet-sitting to a method, an effect, a phenomenon, a reason, and an ultimate stage. One same point among them is targeting actual specific body and mind. That is, the change of body results in the change of mind. Furthermore, Quiet-sitting is a practice. A philosophical basis behind this theory lies in Treatise of Human. The effects of Quiet-sitting such as meditation, Zen meditation, yoga, hypogastric breathing, etc. are turning out to be the development of studies in each field such as neuroscience, psychology, etc. associated with our body today. Science and medicine show how a state of quiet affects our body and what effects it produces. Moreover, regardless of the fact that religious people manage their heart through meditation, the effects of Zen meditation are widely known to ordinary people, and there are more and more people who sit quietly, and at the same time, the development of science made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s body and mind much closer. Like this, the purposes for people to sit quietly are different, but the real purpose of quiet sitting is to establish the posture of people living rightly and realize the realities of life, not to be ideological, not to hope for an absurd miracle or not to pursue individual selfishness. When this Quiet-sitting is roughly categorized, there are ancient meditation, Quietsitting of Buddhism and Taoism, Quiet-sitting of Confucianism and the rest of Quiet-sitting. Among these, Quiet-sitting of Buddhism refers to "be sitting quietly," and a Zen priest in Zen meditation is a representative. Quiet-sitting that Confucian scholars refer to has a wide variety of meanings. Confucius scholars refer to not only the posture of Zen priests when they are in Zen meditation but the posture when they read at their desks as Quiet-sitting. In addition, They refer to the posture when they play go, fish, or sit quietly as Quiet-sitting. As such, Since Confucius scholars use Quiet-sitting in many different ways, it is not easy to define its concept uniformly. However, it can be seen that sitting quietly, concentrating one's mind and uniting minds are the same and not different.

Ⅰ 들어가는 글
Ⅱ. 靜坐의 목적과 방법
Ⅲ 儒·佛·道 靜坐의 비교 및 분석
Ⅳ 나가는 글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