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한국에서 상영되었던 영화 ‘회복’은 메시아닉 유대인들의 존재를 알려주는 역할을 했다. 그들은 예수를 메시아로 믿지만 기독교인으로 불리기를 거부하고, 유대인의 정체성을 유지한 채 자신을 메시아닉 유대인이라고 규정한다. 또한 이들은 동족인 유대인들을 상대로 메시아를 전하는 선교 운동(메시아닉 유대교 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은 선교학의 한 주제로서 메시아닉 유대인들의 역사와 신앙, 그리고 그들의 선교운동을 다룬다. 그들의 역사에 관해서는 1세기 메시아닉 유대인 공동체로서의 예루살렘 공동체(교회)와 마태공동체, 기독교와 유대교의 분리, 그 분리의 배경이 되었던 대체신학(반유대교주의), 메시아닉 유대인들을 역사의 시각으로부터 사라지게 했던 반유대인주의, 18세기에 그들을 역사에 재등장시켰던 경건주의자 친첸도르프의 주덴케힐레(Judenkehille) 등을 다룬다. 그들의 신앙에 대해서는 현재 메시아닉 유대인들의 대표적인 단체들인 Union of Messianic Jewish Congregations, Messianic Jewish Alliance of America, International Alliance of Messianic Congregations and Synagogues의 신앙 진술문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펴본다. 그리고 후기 대체주의적인 관점에서 그들의 선교운동에 대해서 평가한 후, 필자 나름의 결론을 내린다.
The movie “Restoration” (2009), shown in Korea, played a role in indicating Messianic Jews’ existence. Although they believe in Jesus as the Messiah, they reject them being called “Christians.” Instead, they define themselves as Messianic Jews, maintaining their identity as Jews. Also, they eagerly share Jesus as the Messiah for Jewish people. This article deals with their history, faith, and mission movement, which have not been much studied in Korea. Regarding their history, it covers the Jerusalem community (church) and the Matthean community as Messianic Jewish community, the separation between Judaism and Christianity, the replacement theology (anti-Judaism) and antisemitism, and Zinzendorf's JudenMissional kehille. Regarding their faith, it goes over the statements of faith of the Union of Messianic Jewish Congregations, the Messianic Jewish Alliance of America, and the International Alliance of Messianic Congregations and Synagogues, which are representative groups of Messianic Jews of the 21st century. Then, it reviews their mission movement in light of post-supersessionism and concludes with my apprai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