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생리적 과정과 환경 요인 간 상호작용에 바탕을 둔 프로세스 모형은 작물 생육 및 생산성 예측을 위한 좋은 도구이다. 탄소 획득과 바이오매스 증가는 프로세스 모형 개발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작물모형 내에서 광합성 과정의 이해 및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1980년 Farquhar 등에 의해 제안된 C3 식물 잎의 광합성 모델인 FvCB 모형의 양파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 및 적합한 모수 추정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온도구배하우스에서 재배된 조생종 양파 품종인 ‘싱싱볼’과 ‘썬더볼’의 광합성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Vcmax, Jmax, TPU 및 Rd 값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양파의 기체교환 모형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양파의 광합성 반응 예측 및 설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Process-based model (PBM), bas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endogenous physiological processes and many environmental factors, can be a powerful tool for estimating crop growth and productivity. Carbon acquisition and biomass accumulation are the main components in PBM, so it has become important to understand and integrate gas exchange process in crop model.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FvCB model (a leaf model of C3 photosynthesis p roposed b y F arquhar, v on C aemmerer, a nd Berry ( 1980)) i n o nion ( Allium cepa L.). For parameterization, two early-maturing onion cultivars, ‘Singsingball’ and ‘Thunderball’, grown in a temperature gradient plastic film house, were used in measuring leaf net CO2 assimilation rate (A), and then, parameter estimation was carried out for four parameters including Vcmax (maximum rate of carboxylation), Jmax (maximum rate of electron transport), TPU (rate of triose phosphate utilization), and Rd (Dark respiration rate). The gas-exchange model calibrat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able to explain the photosynthetic responses of onion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R2=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