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KCI 등재
유튜브가 기억하고 기록하는 노동 : 20, 30대 여성의 직장인 브이로그에 대한 탐색적 연구
The Labor YouTube Remembers and Records : An Exploratory Study on Women Workers’ Vlogs in Their 20s and 30s
이선민 ( Sun Min Lee )
UCI I410-ECN-0102-2022-300-000243419

이 연구는 사회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노동을 하는 20, 30대 사무직 여성들이 유튜브 직장인 브이로그를 운영하는 의미를 분석해 이들이 디지털 노동으로서 직장인 브이로그를 현실 노동 속에서 어떻게 맥락화하는지 알아보고 있다. 이들에게 직장인 브이로그는 자기표현, 수익을 추구하는 노동, 자기계발 행위, 현실의 노동을 벗어나 인정받을 수 있는 또 다른 노동추구이자 노동자로서 정체성을 인정받으려는 갈망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었다. 이들은 인정받지 못한 현실 노동의 정체성에서 비롯된 자신의 정체성을, 유튜브라는 공간을 통해 표현하고, 창조하고, 공유하며 스스로의 정체성을 구성한다. 평가받지 못하거나 평가될 수 없는 노동은 조회 수와 구독자라는 성과로 가시화되고, 이들은 현실의 노동 공간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노동의 수고로움을 인정받음으로써 위로받는다. 하지만 주변화된 자신의 노동을 전시하는 직장인 브이로그는 목적의식적으로 타인이 부여하거나 할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현실의 노동에서 경험하지 못한 타인의 인정과 그 노동을 갈망하는 타인의 존재는 현실의 노동과 뒤섞인 직장인 브이로그라는 노동을 지속시키고, 인정과 선망의 복잡한 감정을 충족시키는 브이로그 노동을 지속하기 위해 현실의 노동을 지속해야 하는 과정이 이들에게 반복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women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running YouTube office workers' vlogs, to find out how they contextualize vlogs as digital labour in real-world labor. For them, the vlog of office workers was a combination of self-expression, profit-seeking labor, self-development activities, another labor pursuit that could be recognized outside the labor of reality, and the desire to be recognized as a worker. They express, create, and share their identity through YouTube, resulting from the identity of unrecognized real labor. Labor that is not evaluated or cannot be evaluated becomes visible as the number of views and the achievements of subscribers, and they are comforted by being recognized for the labors that were not recognized in the real work space. However, vlog, an office worker who displays his or her marginalized labor, is also a process of purposefully assigning or assigning others. The recognition of others not experienced in real work and the existence of others who yearn for the work sustains the work called vlog, a worker, and continues real work in order to continue the vlog work that satisfies the complex emotions of recognition and envy. The process that should be done is repeated.

1. 문제제기
2. 선행 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