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초고령사회 지역 노인여가문화의 지리적 특성 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Elderly's Leisure Culture in the Super Aged Society ― Focused on Jeollanamdo ―
박종천 ( Park¸ Jong-chun )
호남학 68권 261-296(36pages)
DOI 10.37996/HS.68.8
UCI I410-ECN-0102-2022-100-000248054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초고령사회 지역인 전라남도 동부지역 내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을 연구지역으로 노인 여가시설의 현황과 여가 프로그램 참여비율 및 운영 실태를 지리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각 지역별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유형과 여가프로그램의 유형과 참여정도는 서로 상이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운영하는 32개 여가프로그램을 건강교실, IT교육, 교육교실, 음악교실, 취미교실로 5개로 유형화하여 확인하였다. 전체 참여율이 높은 여가프로그램은 취미교실, 건강교실, 교육교실, 음악교실, IT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고흥군은 건강교실, 보성군은 교육교실, 곡성군은 취미교실, 구례군은 건강교실과 취미교실을 중심으로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역적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지역의 특성과 참여자의 요구와 더불어 관련 교육기자재의 보유 여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곡성군은 종합사회복지관 같은 시설이 존재하지 않아 IT교육이 어려웠고, 보성군은 노인들의 단체 참여형태의 평생대학원과 행복교실을 운영하는 특징을 보였다. 지역의 노인복지관이나 종합사회복지관의 유무에 따라 여가프로그램의 양적 질적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여가복지시설의 운영프로그램 참여요인으로는 교통 접근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지방정부는 여가복지시설에서 운영되는 노인여가 프로그램을 정부가 개발하여 지역에 보급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여가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지리적으로 편차를 보이는 노인의 여가 프로그램에 누구나 참여하여 소외받는 노인이 없는 여가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participation rate of leisure programs, and the actual status of operation over Gokseong-gun, Gurye-gun, Goheung-gun, and Boseong-gun in the eastern region of Jeollanam-do, which is a representative super-aged society in Korea. The result shows difference in the type of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type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leisure program depending on the regions. The 32 leisure programs operated in the research area could be categorized into 5 types: health class, IT education, education class, music class, and hobby class. Leisure program with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in all regions is hobby class, and health class, education class, music class, and IT education follows. The highest participating leisure program in each region, which is health class in Goheung-gun, education class in Boseong-gun, hobby class in Gokseong-gun, and health class and hobby class in Gurye-gun respectively. This is affected by retention of educational tools and material as well a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participants. In particular, Gokseong-gun does not have facilities such as a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having a difficulty to proceed IT education, and Boseong-gun is characterized by operating lifelong graduate schools and happiness classes in the form of group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local elderly welfare center or a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the difference of leisure programs is remarkabl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both, and the transportation access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operated in leisure welfare facilities.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develop and distribute the leisure program for the elderly operated in leisure welfare facilities and add appropriate leisure program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which encourages whoever to participate leisure program without exclusion by supporting institutional maintenance and policy support.

Ⅰ. 들어가는 말
Ⅱ. 노인여가 복지시설 현황
Ⅲ. 노인여가 복지시설 운영실태 분석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