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스마트폰 특성인 몰입과 만족이 중국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phone Immersion and Satisfaction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hinese Consumers
진성신 ( Chen Shengchen ) , 장형유 ( Hyeong Yu Jang )
DOI 10.22321/jdl2020070401
UCI I410-ECN-0102-2022-000-000252537

중국 스마트폰 시장 역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급격한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스마트폰 산업의 매력적인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은 급속하게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스마트폰 사용 고객과 관련된 기술의 개발, 그리고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한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스마트폰 특성이 몰입도와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스마트폰 시장과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스마트폰 특성의 요인들, 몰입도와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대한 정의와 선행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중국의 스마트폰 특성 요인들이 몰입도와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몰입도는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몰입도와 만족도는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며 첫째, 스마트폰 특성이 몰입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품질, 어플리케이션, 금전비용, 디자인은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하지만 브랜드는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둘째, 스마트폰 특성이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품질, 어플리케이션, 브랜드는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하지만 금전비용, 디자인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셋째, 몰입도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그리고 몰입도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만족이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mobile smartphone characteristics on immersion,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 to Chinese consum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users who had used a Chinese smartphone in person. We collected 280 questionnaires from Chinese smartphone users, tested the research model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characteristics partly affected the level of immersion. Quality, applications, money costs, and designs have been adopted as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gree of immersion. However, the brand turned out to have no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immersion and was rejected. Second, smartphone characteristics partly affected satisfaction. Quality, applications, and brands have been adopted as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However, money costs, designs, and designs were rejected because they did not positively affect satisfaction. Third, it was adopted as i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immersivity was adopted a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the purchasing intention. Finally, satisfact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urchasing intention and was adop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