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기후 모델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선정은 각 분야별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영향 및 전망을 분석하고 적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주요한 요소이다. 또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확실성 중 주요 원인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택에 의한 불확실성으로 제시된 바 있다. 즉, 기후 모델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선정에 따라 기후변화 영향 및 전망 결과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서 제공하는 모든 역학적 기후 모델을 활용하여 미래에 대한 모든 불확실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3년에 발간된 IPCC의 제 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the Fifth Assessment Report, AR5)에서는 5단계 결합모델 상호비교 프로젝트 (the phase five of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CMIP5)를 통해 대표농도경로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최근에는 IPCC 6차 평가보고서 (6th Assessment Report, AR6, 2021∼2022년 발간 예정) 작성을 위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새로운 미래 온실가스 변화 경로인 공통사회경제경로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에 따라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CMIP6 SSP의 주요 시나리오는 SSP1-2.6 저탄소 시나리오(사회 불균형의 감소와 친환경 기술의 빠른 발달로 기후변화 완화, 적응능력이 좋은 지속성장가능 사회경제 구조)와 SSP5-8.5 고탄소 시나리오(기후정책 부재, 화석연료 기반 성장과 높은 인적 투자로 기후변화 적응능력은 좋지만 완화 능력이 낮은 사회경제 구조)로 구분되어 제공되고 있다. CMIP6 SSP 시나리오는 기존 RCP 시나리오 결과와 비교하여 전 지구 평균 기온과 강수량의 증가폭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향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다수의 기후 모델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기후변화 표준시나리오 인증을 받은 CMIP5 기반의 상세 자료 및 CMIP6 기반의 다중모델 앙상블 자료를 이용하여, 미래 농업기상재해의 시·공간적인 특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