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후보
영화 <벌새>에 나타난 상실과 소통의 성장서사
Growing up through Loss and Communion in House of Hummingbird
심영아 ( Shim Young-a ) , 최수웅 ( Choi Soo-wung )
한국문화기술 28권 77-98(22pages)
UCI I410-ECN-0102-2022-000-000314154

이 연구는 성장서사의 관점에서 영화 <벌새>에 나타난 입사의 의미를 1990년대 한국사회현실의 맥락과 함께 고찰함으로써 주인공의 개인적 경험에 기입된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추적하는 동시에 그 현재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작품에 나타나는 상실의 경험과 소통의 의지는 개인적인 동시에 사회적인 것으로, 1990년대를 관통하는 한국사회의 공통경험에 기반을 둔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유효한 보편성을 획득한다. 작품에서 1994년 대치동의 학교와 아파트는 물신주의적 자본주의와 그와 연동하여 작용하는 가부장제의 폭력성이 드러나는 세계로 그려지고 있다. 주인공 은희가 가족과 친구 관계, 수술로 겪는 여러 경험들은 상실이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성장서사의 맥락에서 이런 상실의 경험은 입사적 의미로 해석된다. 작품 속 가장 큰 상실에 해당하는 학원 선생 영지의 죽음은 성수대교붕괴와 이어지면서 주인공의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차원의 상실을 사회적으로 확장하는 서사적 장치로 작용한다. 은희가 이런 상실의 경험들을 수용하고 성장할 수 있는 데에는 영지 선생으로 대표되는 타인들과의 관계와 연대가 중요한 지지가 된다. 의무나 혈연으로 엮이지 않은 타인들에게서 오는 지지와 소통은 은희 안에서 창작과 소통에 대한 욕망으로 자라난다. 소통의 욕망은 수동적이고 소외된 존재였던 은희가 적대적 세계와 화해하고 타인과 관계를 맺고자 하는 열린 존재로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폭력적으로 경험되는 세계 안에서 상실의 경험을 통과하면서 연대와 소통을 추구하는 존재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벌새>의 서사는 개인의 과거를 통해 1990년대의 사회적 맥락을 소환함으로써 한국사회의 공통 기억에 호소한다. 또한 창작을 통한여성 성장서사의 한 유형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initiation in the film House of Hummingbird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narrative, along with the context of Korean social reality in the 1990s, and traces the sociocultural context represented in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main character. It also analyse the meaning of this sociocultural context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 The experience of loss and the will of communion in the film are both personal and social, and they acquire universality that is valid even today,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of Korean society in 1990s. In the film, school and apartment in 1994’s Daechidong are depicted as a violent world dominated by capitalism and patriarchy which are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The protagonist Eun-hee’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friends,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surgery, can be summed up in terms of loss. In the context of a growth narrative, these experiences of loss can be interpreted as a symbolic process of transition and initiation. The death of Yong-ji, due to the collapse of Seong-su Bridge, connects the disaster of social dimension with Eun-hee’s personal loss. In these losses and trials, solidarity with others is important support for Eun-hee to accept the losses and grow up. Support and sympathy from others who are not bound by duty or kinship, give her a desire to support others and communicate with them in her turn by creating cartoons. This will of communion is a result showing that Eun-hee, who was passive and alienated at the beginning, has reconciliated with the hostile world and grown into a person open to others. The narrative of the film, which shows the process of growing toward solidarity and communion pass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loss in a violent world, summons the social context of the 1990s through the individual's past. It also presents a type of female growth narrative motivated by creation.

1. 서론
2. 1994년 강남에 나타난 한국 사회
3. 입사적 시련으로서의 상실들
4. 연대와 소통을 통한 성장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