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논문들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방법: 최종 선정한 14편의 논문은 오픈 소스 통계 소프트웨어인 R (3.6.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계수를 활용한 효과크기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4개의 국외 검색엔진과 4개의 국내 검색엔진으로 시행하였다. 국외 검색엔진으로는 EMBASE, CINAHL, PubMed, Cochrane Library를 통해 검색하였다. 반면 한국 검색엔진으로는 KISS, RISS, NDSL, KMbase를 사용하여 문헌검색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내적요인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간의 효과크기는 r= 0.37, 회복탄력성의 효과크기는 r= 0.34, 자존감의 효과크기는 r= 0.32로 나타났다. 외적요인에서 소명의식과 외상 후 성장 간의 효과크기는 r= 0.50, 직업소명의 효과크기는 r= 0.25로 나타났다. 대처기전의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 간의 효과크기는 r= 0.36, 자기노출의 효과크기는 r= 0.20이었다. 대처전략의 문제중심대처와 외상후 성장 간의 효과크기는 r= 0.49, 의도적 반추의 효과크기는 r= 0.54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외상 후 성장 간의 효과크기는 r= 0.23으로 나타났으며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에 가장 크게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결론: 한국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 내적요인, 외적요인, 대처기전, 대처전략, 외상 경험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의도적 반추는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의도적 반추를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고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정신간호 중재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s a meta-analysis mainly based on previous papers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of fire officials. Methods: Using open source statistical software, R (3.6.0), the final 14 selected papers carried out an effect-size meta-analysis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It was conducted with 4 foreign and 4 domestic search engines. Foreign search engines are the following: EMBASE, CINAHL, PubMed, and Cochrane Library. On the other hand, Korean search engines are the following: KISS, RISS, NDSL and KMbase. Results: Research shows that, for internal-factors, the effect size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elasticity was r=0.37, with resilient elasticity was r=0.34, and with self-esteem was r=0.32. For external-factors, the effect size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sense calling was r=0.50, and with career calling was r=0.25. For coping-mechanism, the effect size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social support was r=0.36, and with self-disclosure was r=0.20. For coping-strategy, the effect size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problem-focused coping was r=0.49 and with intentional rumination was r=0.54. Lastly, for traumatic-experiences, the effect size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PTSD was r=0.23.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develop strategies promoting intentional rumination and provide the basis for the mental nursing arbitra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