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말 ‘정보화’와 ‘세계화’ 시대의 개막이 중국의 어문환경과 어문정책에 가져온 변화와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중국 정부의 어문정책 기조 변화와 ‘어문현대화’ 구호의 제기 배경, 중국인들의 어문생활과 어문인식의 변화와 ‘일어쌍문제’의 제기 배경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어문현대화’는 1978년 12월 ‘개혁·개방’ 노선과 ‘4가지 현대화’ 선언 이후, 어문환경의 변화에 맞춰 기존의 어문 체계와 제도를 현대화하기 위해 제기된 개념이다. 정보화·세계화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 이후로는 기존의 어문 체계와 제도 전반을 컴퓨터나 인터넷 같은 디지털 정보화 기기와 시스템에 맞춰 나가기 위한 일련의 이론적·제도적·기술적 시도들을 총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어문현대화’ 작업의 일환으로 제기된 ‘一語雙文制’ 도입 주장은 처음에는 주로 디지털 정보화 기기와 시스템에서 중문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한어병음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정보화 기기의 본격적인 보급과 함께 한어병음 코드 입력법이 보편적인 한자 입력법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점차 한어병음을 한자와 같이 문자 방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할 것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중문정보는 디지털 정보화 기기와 시스템을 통해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종 어문과제들을 효율적으로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는 한자와 한어병음의 긴밀한 공조가 필수적이다. 한자의 전통적인 역할과 위상을 통해 기존 어문체계의 안정성을 유지·강화하는 동시에 현대 한어를 표기하는 국제적 표준으로서 한어병음이 갖고 있는 호환성과 효율성을 바탕으로 디지털 정보처리 기술 분야의 발전과 세계화 추세에 신속하게 대응해 나가야 한다.
‘一語雙文制’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이론적·기술적·실천적 과제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기존의 어문체계에 대한 지나친 경로의존성이나 부정형 심리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실용적인 자세로 점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면 머지않아 일상 어문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게 될 것이다.
“Language modernization” is a concept to modernize the language system caused by the change of language circumstances since December 1978 when the ‘reform and open’ project and ‘four modernizing’ project have been declared.
First ‘Digraphia’ attempt was to extend the function of Chinese alphabet for the devices and systems, in this information era, to treat the Chinese information efficiently. But with the distribution of devices, Chinese alphabet typing system get settled, and it extended again to use Chinese alphabet as a character.
Now most of the Chinese information is being produced by the devices and systems. In this situation,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alphabet must cooperate for many tasks. We have to cope with globalizing with stabilize the original language system, by keeping th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and using efficiency which Chinese alphabet has.
There are still have some tasks to adopt ‘Digraphia’ system. But when we have an objective and practical mind instead of negative of new with attempt to get rid of the reliance on the old language system, we will soon get used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