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근거기반실천과 Hall과 Hall의 임상적 통합 근거와의 통합적 적용
Integrative Applications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Psychology to Hall & Hall’s Foundations of Clinical Integration
김경준 ( Kim¸ Kyoungjun )
UCI I410-ECN-0102-2021-200-001237290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심리학에서의 근거기반실천’(EBPP)을 신학과 심리학 통합 작업의 일환으로 Hall과 Hall이 제안했던 임상적 통합에 있어서의 근거들과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본론에서는 Hall과 Hall이 발표하였던 임상적 통합의 정의와 그 내용을 간략하게 개관한 후, 1952년에 Eysenck가 발표한 심리치료의 무익함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논문으로부터 근거기반실천에 대한 APA 회장 전담팀의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근거기반실천 운동이 생겨난 역사적인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근거기반실천의 정의와 주축을 이루는 세 가지 내용 즉, 최고의 이용 가능한 연구 근거, 임상적 전문성 및 내담자의 가치, 성격 특성, 선호, 및 환경에 대하여 그 중심 개념을 소개하였다. 또한, 임상적 통합과 근거기반실천은 그 목적 면에서 상담의 효과 증진이라는 공통성이 있음을 제시한 후, 근거기반실천의 각 내용이 임상적 통합을 위한 근거의 이유들과 그 적용범위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상세히 고찰하여 기독교 상담 장면뿐만 아니라 일반상담 장면에서도 임상적 통합을 유능하게 실천 할 수 있는 근거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독교 상담 실천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실제적인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Evidence-Based Practice in Psychology (EBPP) to the foundations of clinical integration suggested by Hall & Hall, which is one of the works of the integration of Theology and Psychology. Firstly, a brief introduction to Hall & Hall’s clinical integration containing the definition and the broad ideas was presented. Clinical integration has a strong foundation with four reasons for existence: pragmatic, ethical, empirical and personal. Secondly, the background history of how EBPP movement had been developed from Eysenck’s article in 1952 to the report of APA Presidential Task Force in 2006 and the three major components of EBPP, which are the best available research evidence, clinical expertise, and patient’s values, characteristics, preference, and circumstances, were described. Thirdly, an integrative work of applying the concepts of EBPP to clinical integration was executed with the common goal of the two paradigms that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 process. This work included the inspection of the possible areas applying the main points of EBPP to the foundational reasons for clinical integration and its categories. In addition, this work can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counseling ministry even in the secular counseling setting as well as in the Christian counseling settings. Lastly, some suggestions for the Korean Christian Counseling settings were presented.

Ⅰ. 여는 글
Ⅱ. 펴는 글
Ⅲ. 닫는 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