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과학 모델링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 -모델링 PCK를 중심으로-
Changes in Teaching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tific Modeling Classes: Focused on Model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엄장희 ( Janghee Uhm ) , 김희백 ( Heui-baik Kim )
UCI I410-ECN-0102-2021-300-001269064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과학적 모델 구성 수업을 적용하는 동안, 두 교사의 수업 실행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탐색하고, 이러한 변화를 교사의 모델링 PCK 발달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 학생들과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 2명이었고, 과학의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서 4가지 주제로 총 8차시동안 모델링 수업을 도입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체 수업 중 교사의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수업 초반(1-2차시)과 수업 후반(7-8차시)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두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 및 이와 연관된 모델링 PCK를 분석하였다. 수업 실행 변화는 GEM cycle의 모델 생성, 평가, 수정 단계에서 각 단계에 할애한 시간과, 피드백의 양 및 피드백의 내용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A교사는 수업 전반에 걸쳐 교사 주도적으로 평가와 수정 단계를 이끌었으며, 수업 초반에 비해 후반에 모델 평가 및 수정 단계에 사용한 시간이 증가하였다. 또한 피드백 측면에서 수업 초반에는 정답 평가 피드백을 사용하였으나, 수업 후반에는 사고 유도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으로 피드백의 내용이 변화하였다. 한편, B교사는 수업 초반에는 거의 교사 주도적으로 모델을 평가하고 수정하였으나, 수업 후반에는 메타 인지적 피드백 등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을 통해 학생 주도적으로 모델을 평가하고 수정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모델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도왔다. 인터뷰 결과, 두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는 여러 가지 모델링 PCK 구성요소의 발달이 바탕이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두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 원인을 모델링 PCK에서 탐색한 결과, 두 교사는 모델링 PCK 중에서 교수지향, 모델링 단계에 대한 이해, 모델링의 가치 인식 정도에서 차이를 보여, 모델링 수업 실행에서 이것의 중요성을 암시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모델링 수업 실행 변화의 사례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모델링 PCK를 밝힘으로써 모델링 수업 개선 방법에 대한 이해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teaching practices of two teachers changed during scientific modeling classes. It also aims to understand these changes in terms of the teachers’ model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developmen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fifth-grade students. The teachers taught eight lessons of scientific modeling classes about the human body.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for lessons 1-2 and 7-8, which best showed the change in teaching practice. The two teachers’ teaching practices were analyzed in terms of feedback frequency, feedback content, and the time allocated for each stage of model generation, evaluation, and modification. Teacher A led the evaluation and modification stages in a teacher-driven way throughout the classes. In terms of feedback, teacher A mainly used answer evaluation feedback in lesson 1-2; however, in lesson 7-8, the feedback content changed to thought-provoking feedback. Meanwhile, teacher B mostly led a teacher-driven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in lesson 1-2; however, in lesson 7-8, she let her students lead the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stages and helped them develop models through various feedbacks. The analysis shows that these teaching changes we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odeling PCK components. Furthermore, the two teachers’ modeling PCK differed in teaching orientation, in understanding the modeling stages, and in recognizing the value of modeling,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these in modeling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can help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modeling classes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actices and modeling PCK.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