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도덕적 진보와 관련해서 밀과 코스가드의 도덕 이론을 비교하며 도덕적 진보를 설명하는 데에 코스가드는 성공적이지만 밀은 실패하고 있음을 논증하는 데에 있다. 코스가드의 이론에 따르면 행위자의 도덕적 진보란 자신의 정체성에 반하는 것을 행하지 않는 방식으로 도덕적 책무를 이행해가는 것이다. 만약 지속적으로 자신의 도덕적 책무를 이행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그 행위들의 결과와 무관하게 행위자는 도덕적 진보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밀에게서 행위자는 자신이 보다 나은 결과를 성취할 때에만 도덕적 진보를 이루게 되며, 공리주의에 따라 행위를 지속한 경우라고 해도 결과에 따라 행위가 잘못된 것으로 드러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행위자가 더 나은 결과를 위해 욕구와 의도를 통제했다고 해도 도덕적 진보가 반드시 뒤따르지는 않게 되는데, 밀의 견해는 도덕적 진보와 관련해서 우연성 문제, 인식론적 문제, 정당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따라서 밀과 같은 공리주의 행위자는 자기 자신에 대한 도덕적 진보 개념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공리주의 원리에 따라 지속적으로 행위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In this paper I argue that Mill’s view fails to explain how an agent can make moral progress whereas Korsgaard’s agent can. For Korsgaard, an agent can formulate her own concept of moral progress in terms of her actions. According to the view, she makes moral progress as long as she continues to act in the way not against her own moral identity. In other words, an agent who exerts to do moral obligations or duties makes moral progress regardless of the outcomes of the actions. For Mill, however, an agent makes moral progress only when she brings a better outcome based on her utilitarian calculation. This means that Mill’s agent cannot make moral progress even when she continues to act with the motivations to bring better consequences. I delve into this issue by offering three aspects of the problem: contingency problem, epistemic problem, and justification problem. These problems make it clear that Mill’s agent cannot formulate her own moral progress of her actions and will find it hard to continue to act upon the utilitarian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