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전라남도 습지보전·이용 활성화 방안
An Activation Plan for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Wetland in Jeollanam-do Jeonnam Green Environment Center
조명현 ( Myung-hyun Cho ) , 김상혁 ( Sang-hyuk Kim ) , 김나경 ( Na-kyeong Kim ) , 이소담 ( So-dam Lee ) , 차도언 ( Do-aun Cha )
UCI I410-ECN-0102-2021-400-001285429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기후변화, 개발압력 및 도시화 등으로 인해 자연환경의 생태적 기능 저하가 심각한 실정이다. 개발 및 도시화 등에 따라 산림, 습지 등 자연 서식지 면적이 감소하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후 발생 등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압력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국가 및 지역 차원에서는 기후변화, 개발 등으로 인한 자연환경 및 생물다양성에 대한 변화실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보전·관리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전라남도는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선제적 변화와 위협을 받고 있어 관리가 시급하다. 전국의 내륙습지 2,499개소 중 전라남도가 386개소로(국립생태원 습지센터) 가장 많은 습지를 보유하고 있으나 주요습지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체계적인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주요 습지 등 전라남도 내 자연환경의 생태적 건강성을 유지·증진과 자연자원의 보전, 현명한 이용을 위해서는 보전·관리 체계 구축과 더불어 합리적이고 현명한 이용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내 주요 습지 현황을 파악하고, 위협요인 대응 등 단·중·장기적인 보전·관리 체계를 제시하고, 도 내 주요 습지를 기반으로 한 생태관광 활성화 정책과 더불어 인근 지역사회 및 다양한 환경변화 요소를 반영하여 전라남도만의 특색이 부각 되는 습지 이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과업의 내용적 범위는 국내·외 습지 보전 정책여건 파악, 전남 습지 환경 현황 및 관리실태 조사, 전남 습지 보전·이용·관리 활성화 방안 제시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국내·외 습지보전 정책 여건 파악에서는 습지관련 정책, 자연환경 및 습지관련 법정계획과 지역계획 분석, 그리고 환경·사회·사회적 여건과 향후전망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다양한 계층(1인가구, 고령층 등)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마련과 이해관계자(시민, 시민단체 등)가 참여할 수 있는 기반 마련, 생태축 구축 등 생태적 연결성 확보, 우수 습지 발굴 및 보전·관리, 습지 생태계를 위협하는 교란·오염 요인 제거·관리, 생태계서비스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 등이 필요하다. 전라남도 습지 환경 현황 및 관리 실태 조사에서는 전라남도 여건분석, 습지현황 분석, 대상습지 선정, 대상습지 현황 및 관리 실태 분석을 하였다. 주요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습지보전·이용 참여 확대, 습지보전·이용가치 인식증진, 기후변화를 고려한 습지 생태계 관리, 생태적 연결성을 고려한 습지 복원,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보전관리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키워드를 보면 보전, 연결성, 생물다양성이 기반이 된 후 참여확대, 인식증진, 현명한 이용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먼저 386개소 중 전라남도 차원의 보전·이용 가치가 있는 습지 85개소를 도출하였다. 도출 기준은 습지 등급(국립생태원습지센터 조사자료), 법정보호종, 주요습지(정밀조사 대상 습지), 보호지역, 지역의견, 기타 중요습지(국가, 지자체에서 사업을 추진 중인 습지) 6개 항목을 기준으로 삼았다. 기준을 적용하여 도출된 습지 중 하천형 39개소, 호수형 31개소, 산지형 9개서, 내륙형 6개소로 확인되었다. 각 습지 별로 일반현황(위치, 유형, 면적, 등급), 생태현황(법정보호종, 생태계교란종 등), 기타(주요 생태축과 연결성, 주변 토지이용 등), 우수요인, 위협요인 등을 정리하였다. 대상습지 현황조사 결과 자연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생물이 서식처로 활용하고 있고 포유류, 조류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삵, 수달, 노랑부리저어새, 붉은배새매 등)이 서식하고 있다. 습지생태계를 교란하는 요인으로 생태계교란생물(털물참새피, 환삼덩굴 등)과 개발, 경작,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있고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습지 내·외부로는 이용이 가능한 생태·문화·관광 자원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이와 연계한 현명한 이용 방안이 필요하다. 전라남도 습지 보전·이용·관리 활성화 방안에서는 앞서 파악한 정책, 상위·지역 계획, 전라남도 습지현황, 대상습지 현황등을 바탕으로 보전·이용·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종합분석 결과 우수 자연자원의 복원·관리, 생물다양성 유지·증진, 위협요인 모니터링·관리,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생태계서비스 확산, 지역 특화 자원 연계·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라남도 습지보전·이용 활성화를 위한 비전 및 목표, 세부과제를 도출하였다. 비전은 “지역민과 함께하는 전라남도 습지보전·이용 기반마련”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였다. 목표 1, 습지 현황정보에 기반한 자연성 회복·향상 목표 2,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습지관리 목표 3, 생태계서비스 확산을 위한 현명한 이용 기반 목표 1의 전략은 전라남도 습지 보전·복원을 위한 계획을 제시하였다. 세부계획으로 습지조사·평가연구에는 도 내 우수 습지 발굴·관리 사업과 생태계서비스 조사·가치평가를 계획하였다. 전남형 생태축 구축 계획에서는 생태축 연결성 강화 계획과훼손 습지 복원 사업을 계획하였다. 서식처 보전·복원 계획에서는 법정보호종 서식처 복원과 생태계서비스지불제 도입 계획을 제시하였다. 목표 2의 전략은 습지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계획을 마련하였다, 세부계획은 습지 관리·운영 조직 구성을 위하여 습지 전담조직 구성과 지역 협의체 구성 계획을 제시하였고 습지 정보 및 관리체계 구축을 위하여 모니터링 체계 구축, 주민 모니터링단/감시원 운영, 습지 정보 시스템 구축 사업을 제시하였다. 위협요인 및 오염물질 관리를 위한 세부사업으로 비점오염원저감·관리, 생태계교란종 제거·관리 계획을 제시하였다. 목표 3의 전략은 습지의 현명한 이용 활성화이다. 이를 위한 세부계획으로 현명한 이용 기반 마련(습지 안내·교육시설 운영, 습지 보전·이용 시설 설치) 생태계서비스 혜택 증진(생태관광지발굴·운영, 주민 해설사 양성·운영), 습지보전 인식확산(습지교육 프로그램 운영, 습지 홍보 전략 마련) 방안을 마련하였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