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위성영상 기반의 열 분포도 및 폭염을 심화시키는 요인 간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하여 열 집중지역과 향후 폭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 공간의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열 집중지역과 폭염 심화요인의 인구, 토지이용, 건축물 각각의 전역적 Moran’s I는 높게 나타나 특정 공간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지적 Moran’s I 분석 결과로, 열 집중지역은 수도권 및 광역시 등 대도시에서 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지역은 산림지역이 우세한 강원도 및 경상북도, 소백산맥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인구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서울 주변의 경기도, 대전, 부산 인근지역에서 군집 분포하였으며 토지이용과 건축물은 수도권과 대도시에 집중하는 유사한 공간 패턴을 보였다. Bivariate Local Moran’s I 분석결과는 열이 집중된 지역에서 인구증가율이 높고, 인공적·도시적 건축환경 및 토지이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열 집중지역의 순위를 도출할 수 있으며 전국적으로 열이 집중되고 이를 심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가진 지역을 탐색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선제적 폭염 대응대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the heat distribution map of the satellite imaging base and the factors that deepen the heat wave, and to explore the heat concentration area and the space where the risk of future heat wave may increase. The global Moran’s I of population, land use, and buildings, which are the causes of heat concentration and heat wave deepening, is found to be high and concentrated in specific spa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local Moran’s I, heat concentration areas appeared mainly in large cities such as metropolitan and metropolitan areas, and forests were dominant in areas with relatively low temperatures. Areas with high population growth rates were distributed in the surrounding areas of Gyeonggi-do, Daejeon, and Busan, and the use of land and buildings we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large cities. Analysis by Bivarate Local Moran’s I has shown that population growth is high in heat-intensive areas, and that artificial and urban building environments and land use take pla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lead to the ranking of heat concentration areas and explore areas with environments where heat concentration is concentrated nationwide and deepens it, so ultimately it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reemptive measures to deal with extreme h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