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고분자 태양전지를 위한 비공액형 고분자 전해질
Non-Conjugated Polymer Electrolytes for Polymer Solar Cells
라마티아피트리빈티나스룬 ( Rahmatia Fitri Binti Nasrun ) , 사브리나아우파살마 ( Sabrina Aufar Salma ) , 김주현 ( Joo Hyun Kim )
공업화학 31권 5호 467-474(8pages)
UCI I410-ECN-0102-2021-500-001298850

고분자태양전지는 용액공정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여, 경량, 저비용, 기계적 유연성 및 고효율과 같은 많은 이점이 있다. 이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관심을 끌어왔다. 공액 고분자 전해질(conjugated polymer electrolyte, CPE) 및 비공액 고분자 전해질(non-conjugated polymer electrolyte, NPE) 재료는 기존의 금속 산화물 중간층과 관련된 일반적인 약점(전하 수집능력 저하 및 금속/고분자 계면에서의 상용성 저하 등)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CPE의 합성은 매우 복잡한 합성과정이 필요하며, 대량합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합성이 용이한 NPE를 개발 혹은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NPE를 이용하면 보다 쉽게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온 그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NPE는 특히 고분자 태양전지를 구현함에 있어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본 총설에서는 그 동안 개발 혹은 응용되었던 NPE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Polymer solar cells have attracted extensive attention over the past decade due to their benefits, such as good solution-processability, light weight, low-cost, mechanically flexibility, and high efficiency. Conjugated (CPE) and non-conjugated (NPE) polyelectrolytematerials have been employed to avoid the typical weaknesse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metal oxide interlayers.However, the application of CPEs is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NPEs because the synthesis procedures are complicated. NPEs containing charged ion groups can provide numerous benefits for renewable energy applications. Especially when implemented in polymer solar cells.

1. Introduction
2. Design and Synthesis of Non-Conjugated Polymer Electrolytes
3. Electronics Properties of Non-Conjugated Polyelectrolytes
4. Applications for Polymer Solar Cells
5. Summary
Acknowledgement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