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9
216.73.216.169
close menu
KCI 등재
디지털 교육에 있어 무용의 ‘초지능’, ‘초신체화’ 그리고 ‘신체적 헌신’에 관한 철학적 논고
A Philosophical Essay on Superintelligence, Super-somatization and Physical Committment of Dance in Digital Education
김정은 ( Kim Jeong-eun )
UCI I410-ECN-0102-2021-600-001326554

이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라는 변혁의 시대에 던져진 온라인 무용교육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고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여기에는 디지털 공간 속 ‘초지능’, ‘초신체화’를 핵심 개념에 두고 온라인 무용교육에서의 ‘신체적 헌신’을 철학적 관점에서 성찰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공간, ‘신체 현전’에 대한 실존주의적 입장은 가상공간에서의 상호신체성을 다루었다. 둘째, 온라인 무용교육에서 ‘초지능’과 ‘초신체’가 주는 쟁점은 창의성의 자동화, 창조성의 단순화라는 비판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셋째, 디지털 무용교육에 있어 ‘신체적 헌신’은 온라인 공간에서의 심미적 가능성과 윤리적 행위를 통해 논거 되었다. 이 연구가 디지털 무용교육에 있어 인문학을 논하는 선행연구로서 축적되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attempt to critically discuss online dance education that was tossed in the post-COVID era of drastic change. With ‘superintelligence’ and ‘super-somatization’ in the digital space placed as the core concepts here, ‘physical commitment’ in online dance education was contemplated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entialist position on ‘body presence’ in the digital space dealt with intercorporeite in the virtual space. Second, the issue of ‘superintelligence’ and ‘superbody’ in online dance education was critically considered in terms of computational creativity or simplification of creativity. Third, ‘physical commitment' in digital dance education was argued through aesthetic possibilities and ethical behavior in the online spa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n addition to preceding studies discussing the humanities in digital dance education.

Ⅰ. 서론
Ⅱ. 디지털 공간 속 ‘신체 현전(現前)’에 대한 실존주의적 입장
Ⅲ. 온라인 무용교육에서 ‘초지능’과 ‘초신체’가 주는 쟁점
Ⅳ. 무용교육에 있어 ‘신체적 헌신’이 주는 윤리적 현행성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