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7.11.25
18.117.11.25
close menu
}
KCI 등재
비톨트 루토슬라브스키의 <피아노 소나타>에 나타난 후기 작곡 요소와의 연관성
A Study on the Relevance of Late Period Compositional Elements to < Piano Sonata > by W. Lutoslawski
최진아 ( Choi Jin-ah ) , 김태정 ( Kim Tae Jung )
UCI I410-ECN-0102-2021-000-001360536

20세기 폴란드 작곡가 비톨트 루토슬라브스키(Witold Lutoslawski, 1913-1994)는 자신만의 작곡 기법 체계를 완성한 중요 현대 작곡가로서, 그의 후기 작품에서 음정군, 체인 기법, 제한된 우연성 기법을 확립하여 후대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의 <피아노 소나타>는 1934년 작곡된 초기의 작품으로 중심음 구조를 쓰는 넓은 의미의 조성 음악이나 중ㆍ후기를 중심으로 발전시킨 위의 세 가지 기법과의 연관성을 찾아 연구하였다. <피아노 소나타>는 1,3악장에 음정군 2와 5의 사용이 집중되고, 2악장에는 7화음 형태의 3도로 구성된 음정군 10개를 사용한 것을 분석하였으며, 체인 기법은 악장과 악장 간, 특히 끝악장과 시작 악장까지 맞물리는 완전한 기법을 찾아볼 수 있었다. 제한된 우연성은 이 소나타에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지만, 20세기 우연음악의 기초라 할 수 있는 기보된 불규칙성, 예측 불가능성을 모티브 변형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이 기법을 예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sitional elements used in the Witold Lutoslawski’s later works to see how they are related with his early work < Piano Sonata >(1934). His < Piano Sonata > is an early work and pan-tonal music, but I foucused on the relavance of late period compositional elements, which are interval class, chain technique, limited aleatorism. First and last movements of < Piano Sonata > focused to use interval classes 2 and 5, the second movement used 10 interval classes which consist of 7th chord figures stacked on 3rd intervals. The chain technique, which is a representative composition element in the late period, interlocks beginnings and ends of phrases, sections, and movements using common musical elements such as melody, rhythm, tempo. Chain techunique is found in all movements of < Piano Sonata >. Limited Aleatorism is not used directly in this sonata, but as a early formation of aleatorism, a number of irregular and unpredictable variants of motives appears in all movements, and open the way of his later limited aleatorism.

Ⅰ. 서론
Ⅱ. 루토슬라브스키의 작곡기법
Ⅲ. 루토슬라브스키의 <피아노 소나타>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