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다양한 국가와 산업에 여러 방식으로 진입하고 있는데, 중국의 해외투자 행태는 전통적인 OLI 패러다임으로 쉽게 설명하기 힘들다는 특징이 있어서 중국기업들의 투자의사결정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피투자국가의 OECD 가입여부, 피투자산업의 종류 등으로 간주하고, 각각의 조건에 따라 중국기업들이 해외시장에 진출할 때, 어떤 진입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AEI)에 의해 제공되는 China Global Investment Tracker(CGIT)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총 1406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국기업들은 해외직접투자를 할 때, 피투자국가의 규제가 강할수록 M&A 방식의 해외직접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투자산업의 종류에 대해서는 서비스업인 경우 M&A를 선호하고, 제조업의 경우 그린필드 투자방식을 선택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2003년에서 2006년 동안 104개 국가의 OECD와 비OECD국가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Chinese firms’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FDI) has experienced an upward trend. While Chinese firms enter different countries and industries in diverse ways, their investment tendency is hard to be explained with the traditional OLI paradigm. So, we believe that mo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hinese firms to invest abroad. Thus, we considered several factors that have a different impact on Chinese firms’ decisions, such as whether a country joined OECD, what kind of industries Chinese firms invest, and many others. Also, we investigated what kind of entry modes Chinese firms prefer depending on each condition. This study was based on China Global Investment Tracker (CGIT), which is offered by The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AEI). We extracted 1406 samples and adopte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onger restrictions are in a country Chinese firms decide to enter, the more M&A is chosen as an entry mode. Concerning industries, Chinese service firms tend to prefer entering a foreign market by doing M&A while Chinese manufacturing firms prefer entering a foreign market by doing Green Field Investment. This tendency was similarly found in a study conducted to the number of 104 countries, OECD and Non-OECD, from 2003 through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