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고령사회 액티브 에이징을 위한 필수요건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7명의 고령사회 전문가를 선정하여 전문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성 및 사회참여 영역에서는 고령자의 개인적 역량 강화와 생산력 제고를 위한 사회적 기반 조성이 필수요건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웰빙 영역에서는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생활방식을 지향하는 자세가 요구되었다. 셋째, 형평성 영역에서는 모든 노인에게 액티브 에이징 환경이 보편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통합력 영역에서는 고령자 친화적 지역공동체 조성과 커뮤니티 케어 등이 제안되었다. 다섯째, 안정성 영역에서는 경제적, 생활환경의 안정성을 우선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요건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영역별 요건들은 초고령사회 액티브 에이징을 위한 필수 요건으로 지목되며 활동적 노년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초고령사회에서의 활기찬 노년을 위한 필수요건을 확인한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되며 노년기 액티브 에이징의 방향성을 모색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active aging in super-aged society. For this purpose, 17 experts from the aged society were select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s of product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the personal capacity of the elderly and enhancing social productivity was identified as essential requirements. Second, in the well-being area, an active lifestyle was required based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ird, in the area of equity, an active aging environment should be universally provided for all elderly people. Fourth, in the area of integration, senior-friendly local communities and community care were proposed. Fifth, in the area of stability, it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requirement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economic and living environment first. The above requirements for each area were identified as essential requirements for active aging in the super-aged society and were identified as matters to be pursued for active old age.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vibrant old age in a super-aged society, discriminating from prior research and seeking the direction of active aging in old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