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하인츠 코헛의 자기 개념과 존 웨슬리의 신학적 개념의 비교와 적용
Comparison and Application Between Heinz Kohut's Concept of the Self and John Wesley's Theological Concept
조항윤 ( Cho Hangyoon )
정신분석심리상담 3권 143-166(24pages)
UCI I410-ECN-0102-2021-100-001071986

이 연구는 하인즈 코헛의 자기 개념을 중심으로 코헛의 이론을 신학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인즈 코헛의 자기 개념은 정신분석학의 역사를 따라 자아 혹은 자기 개념의 발전과 영향, 임상을 통해 형성된 개념이다. 하인즈 코헛의 자기 개념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자기대상들과의 관계성 안에서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그가 주장했던 자기대상들인 이상화된 부모 원상, 과대자기, 쌍둥이 자기대상에 대한 이해에서 자기대상들을 삼중 축으로 이해함으로 보다 발전적인 자기대상에 대한 이해를 가져온다. 이러한 이해는 신학적으로 삼위일체적 구조로 볼 수 있고, 이는 충분히 신학적으로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필자는 하인즈 코헛의 자기 개념이 가지는 특징을 존 웨슬리의 신학과의 비교를 통해 서술하고, 코헛의 이론이 신학에서 가지는 시공간적 특징과 경험의 주체로서 가지는 특징을 서술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Heinz Kohut's concept of self in theology. Kohut's concept of self exists not in isolation but in relationship to what he calls selfobjects, the idealized parent imago, the grandiose self, and the twinship self. I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the selfobjects not as a bipolar self but as more of an advanced tripolar self, suggesting that the selfobjects influence the self. Finally, I compare John Wesley's theology with Heinz Kohut's theory.

1. 서론
2. 하인즈 코헛의 자기 개념과 자기대상 개념
3. 존 웨슬리의 신학
4. 존 웨슬리와 하인즈 코헛의 비교
5. 하인즈 코헛의 신학적 적용
6.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