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주시 역사유적지구 대릉원지구를 대상으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을 이용하여 가상체험한 후 평가를 통해 경관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미지 요인과 시각적 선호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릉원지구에 대한 선호도 분석으로 노서리 고분군 서쪽 경계에 위치하는 경관3이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릉원서쪽 경계에 위치하는 경관5는 3점 미만의 낮은 점수로 분석되었다. 시각적 특성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로 특이성, 공간성, 역사성 3가지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요인점수와 시각적 선호도에 대한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특이성이 역사문화경관 대릉원지구의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은 입체성이 강하고 실재 경관에 대한 재현 정도가 높으며, 경관분석에 효율적인 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로 역사문화경관 시각적 질의 향상에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 앞으로 경관계획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takes the Gyeongju Historic Areas Daereungwon Area as the research object, uses the Virtual Walkthrough method for virtual experience and evaluati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analyze landscape visual characteristic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factors and visual preferences, the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preference analysis of the Daereungwon Area show that the preference of scene3 where located on the western boundary of Noseo-rl tumuli got the highest score, and the preference score of scene5 where located on the western boundary of Daereungwon less than three point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f visual characteristics, three factors were analyzed: regularity factor, spatiality factor and historical factor.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 scores and visual preferences show that regularity factor was analyzed as the biggest factor that affects the visual preference of the Historical-cultural landscape Daereungwon Area. Virtual Walkthrough method has a strong three-dimensional and strong production of the real landscape scene, it's an effective method in landscape analysis. The results of research provides data and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visual quality of Historical-cultural landscape and it's expected to be applied in the future of landscape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