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143.57
3.145.143.57
close menu
}
KCI 등재
우슈선수들의 운동열정과 자기관리 및 운동 몰입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ssion, Self-management and Exercise Immersion by Wushu Athletes
윤병용 ( Yoon Byoung-yong ) , 문한식 ( Moon Han-shik )
UCI I410-ECN-0102-2021-600-001098168

본 연구는 우슈선수들의 운동열정과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들은 2018년에 우슈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5월부터 8월까지 가용표집방법을 이용하여 18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검사,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화열정은 대인관리, 정신관리, 훈련관리, 몸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화, 강박열정은 인지몰입, 행위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관리, 정신관리는 인지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관리는 행위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우슈선수들은 운동열정이 높을수록 자기관리와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기관리 또한 잘할수록 운동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ssion, self-management and exercise immersion by Wushu athletes. In order to accomplish such a purpose of the study, it has selected the athletes participated in 2018 Wushu Competition as the parent group ot analyze for 187 subjects by using the available sampling method from May to August. For data processing, the SPSS 25.0 program is used to implement frequency anal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u-regression analysis to formulate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ad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xercise passion o the self-management, it had the positive (+) inuluence in the sequence of personal management, ment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for the harmonized pass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xercise passion on the exercise immersion, it had the positive (+) influence in the sequence of compulsive passion and harmonized passion for the cognitive immersion and it had the positive (+) influence in the sequence of compulsive passion and harmonized passion for the behavioral immers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self-management on the exercise immersion, it had the positive (+) influence in the sequence of personal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for the cognitive immersion and it had the positive (+) influence of mental management for the behavioral immersion.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