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4
18.97.14.84
close menu
Excellent Accredited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 이후의 오리엔탈리즘 연구 동향과 그 세계사 교육적 함의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Studies on Orientalism after Edward Said and Their Implications for World History Teaching
윤종필 ( Yoon Jong-pil )
서양사론 vol. 145 77-123(47pages)
DOI 10.46259/WHR.145.3
UCI I410-ECN-0102-2021-900-001097640

본고는 에드워드 사이드를 비판하면서 그와 다르게 근대 유럽 사상의 성격을 해석하는 역사가들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한다. 본고는 근대 유럽 사상사 해석과 관련하여 사이드에 대한 비판을 세 가지로 나누었다. 먼저 제국주의에 대한 근대 유럽인들의 태도에서 발견되는 모호함, 내적 갈등, 무지, 무관심의 측면에 주목하는 연구가 있다. 다음으로 유럽에 존재했던 반제국주의 전통의 흐름과 성격에 대한 분석이 있다. 이 두 종류의 연구는 근대 유럽 사상, 혹은 넓게 보아 문화를 제국주의적 지배 담론으로 ‘일반화(totalising)’하는 사이드의 태도를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근대 유럽에 대한 동양 문명의 영향에 주목하는 역사학자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근대 유럽인들이 동양을 대했던 태도가 일방적이었다는 사이드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본고는 이러한 사이드에 대한 비판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 세계사 교육에서의 오리엔탈리즘 논의가 재고, 보완해야 할 점을 제시한다.

This essay examines contemporary European historians with proposed interpretations of modern European thought different from that of Edward Said.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the modern European ideas, there are, roughly speaking, three sorts of criticism against Said’s interpretation. First, there are studies focusing on the ambivalence, internal conflicts, indifference, and ignorance found in Europeans’ attitudes toward imperialism. And some historians have expressed interest in tracking the tradition of the anti-imperialist critique in Europe. The two kinds of studies target Said’s ‘totalising’ approach to the modern European thought (or, more broadly, culture) that treats it as a discourse of domination. Last, there are efforts to focus attention on the modern Europeans’ openness to Oriental cultures, thereby repudiating Said’s contention that the Europeans understood Oriental peoples in a unilateral, ethnocentric manner. In light of these studies, this essay illuminates points for reconsideration and revision in the current discussion of Orientalism led by history education researchers in Korea. (Dongguk University / jpyoon1982@gmail.com)

Ⅰ. 서론
Ⅱ. 제국주의에 대한 유럽인의 모호성과 무심한 태도
Ⅲ. 근대 유럽 사상 안의 반제국주의적 전통
Ⅳ. 유럽의 문화적 포용성 및 상호작용
Ⅴ. 국내 세계사 교육 내의 오리엔탈리즘논의 검토
Ⅵ.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