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후보
인공지능철학 관련 연구의 비판적 고찰 -통합이론 ‘사상한(四象限)’과 관련하여
Critical Review of Artificial Intelligence philosophy study -In relation to the AQAL(All Quadrant, All Level) of integral theory
허훈 ( Heo Hoon )
DOI 10.46397/JAIH.5.6
UCI I410-ECN-0102-2021-000-001097618

거의 모든 학문 영역에서 전(全)방위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공지능 관련 철학 연구에 있어서도 많은 연구물들이 나오고 있지만, 상이한 철학적 관점으로 동시에 인공지능 문제에 접근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립각을 세웠던 철학사상이 동시에, 동일한 주제에 적용되었을 때 상이한 결론을 도출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상반되는 철학적·윤리학적 관점을 적용했을 때 얻게 될 상이한 결론은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선결 과제로 남는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또 하나의 대안으로서 통합적 접근(Integrated approach) 을 제안한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인공지능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통합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연구물은 찾기 어렵다. 하지만, 통합적 접근법은 ‘접근법으로서의 개별철학사상의 한계’, ‘철학적 관점의 차이에 따른 결론의 상이성’을 잘 보여준다. 이에, 통합적인 모델 ‘사상한(四象限)’을 원용하며, 이를 인공지능 문제에 적용·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적시한다.

Research on AI is under way in almost all academic fields. While many investigations have been published in AI-related philosophical studies, there are simultaneously many approaches to AI problems with unique philosophical stances. Different conclusions are often drawn when conflicting philosophical ideas are concurrently applied to the same subject. Thus, it is a prerequisite to reveal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can we overcome different conclusions when applying conflicting philosophical perspectives?”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approach as an alternative.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that employs an integrated approach in the literature on AI, both at home and abroad. Yet the integrated approach illustrates the limitations of individual philosophical thoughts as an approach and the “differentiation of conclusions based on different philosophical views.” In this paper, I use the integrated model of “all quadrants, all levels” (AQAL). AQAL suggests the need for research into AI, and indicates that it can be applied to AI problems.

1. 서언
2. 국내외 인공지능철학 관련 선행연구
3. 선행 연구들의 문제점
4. 인공지능 문제 접근 프레임으로서의 온상한(AQAL)
5. 결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