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여성의 심혈관 질환은 남성에 비하여 중장년 전에는 유병률이 낮은데 반하여, 중장년 이후에는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제6기, 제7기 2차년도 (2010-2017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심혈관계 질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성인 총 41,386명 중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증, 협심증 진단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11,52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남자 5,151명, 여자 6,378명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인 심혈관 질환의 유병률은 27.9%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44.7% vs. 55.3%, p < 0.001). 평균 연령은 여성이 유의하게 높았고(63.9 ± 11.1 vs. 66.6 ± 9.9세, p < 0.001), 남성의 유병률은 중년에서 높았고, 여성의 유병률은 70세 이후에 더 높았다(p < 0.001). 여성은 결혼의 상태,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비만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은 흡연과 음주, 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은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공복 혈당, 중성지방 및 백혈구가 남성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고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은 낮았다. 심혈관 질환 유병률은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고혈압이 유의하게 많았으며, 남성에서는 심근경색증(5.5 vs. 2.5%, p < 0.001)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동반 질환 중에는 여성이 우울증(2.8 vs. 8.6%, p < 0.001),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는 경우에 심혈관 질환 유병률이 높았고, 남성은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 심혈관 질환 유병률이 높았다. 다변량 분석결과에서 남성은 높은 스트레스(OR 2.31, 95% CI 1.28-4.17, p = 0.005)와 흡연(OR 1.61, 95% CI 1.04-2.48, p = 0.031), 당뇨병, 여성은 우울증(OR 2.03, 95% CI 1.22-3.39, p = 0.007)과 낮은 교육수준(OR 9.99, 95% CI 6.91-14.22, p < 0.001), 류마티스 관절염, 주관적 건강상태가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
결론: 한국인에서 성별에 따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에 차이가 있으며, 남성에서는 흡연과 스트레스가, 여성에서는 우울증과 류마티스 관절염, 낮은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가 대표적인 위험인자였다.
Background/Aims: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women is lower than that among men in middle age, but increases after middle a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sex in Koreans adults.
Method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the 5th, 6th, and 7th years (2010-2017) were analyzed.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adults. From the total of 41,386 patients, 11,529 patients were selected.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 adults was 27.9%, and the prevalence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55.3% vs. 44.7%, respectively, p < 0.001). Wome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were older than men (66.6 ± 9.9 years vs. 63.9 ± 11.1 years, respectively, p < 0.001).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was higher in women with comorbid depression and rheumatoid arthritis and higher in men with diabetes mellitu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tress (OR 2.31, 95% CI 1.28-4.17, p = 0.005) and smoking (OR 1.61, 95% CI 1.04-2.48, p = 0.031)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hile depression (OR 2.03, 95% CI 1.22-3.39, p = 0.007), low education level, rheumatoid arthritis, and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OR 1.70, 95% CI 1.20-2.41, p = 0.003)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
Conclusions: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ccording to sex in Korea.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were smoking and stress in men, and depression, low education level, rheumatoid arthritis, and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in women. (Korean J Med 2020;95:266-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