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생태 위기와 성인지와 관련한 여성 문제 등의 공동체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에코페미니즘 시 교육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에코페미니즘적 시 원리인 여성성을 활용한 교육적 적용을 말한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배려와 나눔’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데도 기여한다.
김선우와 문정희의 시를 에코페미니즘 시로 재해석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선보인다. 이를 통해 유기체적 순환과 타자 위치가 아닌 주체 인식의 에코페미니즘 시 원리를 이해하여 배려와 나눔으로 공존, 연대를 실천하도록 교육한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as a solution to the social conflict problems of gender cognition or ecological crisis through education in Ecopeminism-poems. This refers to educational application using femininity as a principle of Ecofeminism-poems. through it contributes to developing a sense of community of “consideration and sharing”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shows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Ecofeminism-poems through reinterpretation Kim Sun-Woo and Moon Jung-Hui poems for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understand about Ecofeminism-poems the principles of organic cycle and recognition main agent. it educates them to practice coexistence and solidarity through consideration and sh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