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6.213.208
3.16.213.208
close menu
}
KCI 등재
양측에서 동시에 발생한 대퇴골 경부 및 간부의 골절의 치료 경험 - 증례 보고 -
Rare Experience of Bilateral Femoral Neck and Shaft Fractures - A Case Report -
최대현 ( Daehyun Choe ) , 이재호 ( Jae-ho Lee ) , 박기철 ( Ki-chul Park )
UCI I410-ECN-0102-2021-500-001094152

동측의 대퇴골 간부 골절과 경부 골절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대퇴골 간부 골절의 2%-9%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는 비교적 드물지 않은 골절이다. 하지만 이러한 손상이 양측에 한 번에 발생하는 것은 매우 드물다. 본 보고에서는 양측에서 발생한 대퇴골 간부와 경부의 동시 골절 환자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교통사고로 동반된 간 열상으로 인한 복강 내 출혈, 양하지 경골 및 비골의 개방성 골절 등으로 손상통제수술(damage control surgery)을 계획하고 양측 하지에 대해 임시적 외고정 장치를 우선 장착하였다. 환자의 전신상태가 호전된 후 외고정 장치를 제거하고 양측 대퇴골 간부 골절과 경부 골절에 대해 골수내정 삽입술(A2FN; DePuy Synthes)을 시행하였고, 대퇴 골두 무혈증 등의 합병증 없이 골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우 드문 질환이지만 진단과 치료에 있어 주의를 요하는 손상으로 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Ipsilateral fractures of the femoral neck and shaft are relatively common injuries and accompany 2% to 9% of all femoral shaft fractures. On the other hand, it is extremely rare for these injuries to occur bilaterally. This paper reports the authors’ experience of a case with bilateral femoral neck and shaft fractures. The patient sustained multiple injuries, including liver laceration with hemoperitoneum, bilateral open fractures of the tibia, and bilateral femoral neck, and shaft fractures caused by a high-speed motor vehicle accident. Under the circumstances, damage-control orthopedic principles were applied, and external fixators were initially placed. After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showed improvement, both femurs were fixed with a reconstruction nail. Fracture healing was achieved without complications, such as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Despite the rare occurrence, this paper describes this case because these injuries must be managed with meticulous attention.

증례 보고
고 찰
ORCID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