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유통(流通)을 통해서 본 공예품(工藝品) 활성화(活性化) 방안(方案)에 대한 연구(硏究)
Research for Activation Plan of Industrial Art through the Circulations
곽순화 ( Kwak Soon-hwa ) , 이충광 ( Lee Choong-kwang )
조형논총 vol. 1 23-32(10pages)
UCI I410-ECN-0102-2021-000-001101451

공예의 역사는 실용공예에서 출발한다. 인간은 몸을 보호하거나 의식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생활도구로서 필요한 물건을 가공하기 시작했고, 역사의 흐름과 더불어 기술적 경험 또한 축적되어 왔다. 이렇듯 기본생활욕구에서 출발한 도구는 점차 생활환경에 깊숙이 침투하며, 시대적 감성이나 미적 감각을 반영한 공예품으로 자리 잡으며 하나의 문화로 형성하게 되었다. 초기 소량생산과 수공예로 형성된 공예문화는 현대에 이르러 대형화되고 가속화된 사회적 흐름과 소비계층의 경제적 상승에 의한 소비의 증가로 인해 일품공예개념의 소멸현상이 야기되었고, 기계화되고 산업화된 대량생산 공예가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다. 이것은 점차 장식성의 배제와 기능주의 선호경향, 테크닉의 고도화, 경제성 지향, 물질주의, 대량생산체계의 합리화, 이윤추구 등으로 산업의 발전을 가져왔지만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이 될 민족문화의 유산을 보존하고 계승하지는 못함으로서 전통과의 맥이 끊어진 채 급진적인 확대와 변모된 모습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산업적 대량생산공예의 체제 속에 전통적 생산체제의 공방제품이 현대 사회 속에 어떻게 접목되어 흡수되고 발전해 가야할지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현재의 한국공예시장의 현주소와 공예시장의 새로운 가능성, 생활 공예품의 유통경로와 공방제품의 판로 등 공예시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공예품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history of industrial arts starts in practical craft. Human began to make his/her tools more sharply for protecting his/her bodies and solving the necessaries of his/her life such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technological experience also had been accumulated along with flow of the history. A tool that he/she made from his/her basis life desire was permeating into deep in his/her living environment gradually. It, also, was settling down as industrial art objects that reflect a sense of the time or aesthetic sense, and formed its own culture. At the first time, industrial arts culture that had been formed by small quantity production and handicraft is now accelerating its size to large. An extinction phenomenon of the excellent industrial arts concept was provoked caused by accelerate a flow of the society and increase of consumption, which was results from the economic upswing in consumption class. Newly, mass production industrial arts that is mechanized and is industrialized was appeared. This issues brought a big development of industry such as exclusion of fanciness, functionalism preference tendency, more advanced technique, economic performance intention, materialism, rationalization of mass production system, pursuit of profits and etc; however, it has been developed gradually the way different than their expects with a radical transfiguration in extension and feature due to a fact that could not preserve and inherit our tradition, which is a motive power of new culture creation. Therefore, in this treatise, we'd like to research into that how an industrial art in traditional production system is assimilated and is connected together in modern society of industrial system of mass production industrial arts. Also we will find out some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of industrial arts market such as a present situation in Korean industrial arts market, new possibility of industrial arts market, channel of distribution and market of workshop product. And we will lay a course of desirable direction in activation plan of industrial art.

Ⅰ. 서론
Ⅱ. 한국 공예의 본질과 그 현대적 과제
Ⅲ. 한국 공예시장의 현주소
Ⅳ. 공예시장의 새로운 가능성
Ⅴ.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