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이이와 정약용의 한국역학 특징을 해명하는 연구지원사업 가운데 먼저 중국역학의 창의적 우주관과 비교하기 위한 논문이다. 중국역학자 가운데 창의적 역학을 주장한 왕필(王弼), 소옹(邵雍)과 한국학자 이이(李珥), 정약용(丁若鏞)의 창의적 우주관을 비교하고, 이들 역학의 독창적 특징을 해명하고자 한다.
중국 역학자 왕필은 우주와 자연 사물의 변화현상을 노장사상과 귀무론(貴無論)적우주관을 토대로 융합적으로 해석하는 현학적 의리역학을 정립하였다. 망상(忘象)론과 망수(忘數)론으로 초월적인 의리를 주장하면서 역리를 의리로 대체하였다. 이로써 한대 상수역학을 일소하고 역사(易詞)를 간명하게 해석하였다. 소옹은 영속적인 우주의 순환과 천도를 선천과 후천으로 나누고, 가일배법의 수리(數理)로서 이를 해명하였다. 소옹은 도상설(圖象說)로서 우주변화와 형성을 구체화하고, 태극을 심법(心法)으로 해석해 우주자연의 원리를 심리로 이해한 특징이 보인다.
이이는 ‘태극즉리(太極卽理)’를 근본으로, 리기(理氣) 관계를 불상잡(不相雜)의 이원론 관계라는 해석에서 리기묘합(理氣妙合)의 불상리(不相離) 관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이이는 태극과 음양의 선후가 없다는 융합적 이해로서 새로운 우주론을 주장하면서 성리학 이론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정약용은 ‘일음일양(一陰一陽)’을 천도로 보았다. 이를 자연과학의 순환 현상으로 한정해 해석하면서 태극이 기氣라는 기학적 태극관을 가졌다. 이에 정약용은 형이상학적 태극론을 부정한다. 정약용은 『주역』 해석에서 성인사도(聖人四道)의 형성요소 규명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태극과 역수들을 서법(筮法)의 수로 해석함으로써 독창적 수리설과 우주관을 주장하는 새로운 역학을 정립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the creative cosmology of Chinese and Korean Scholars- Wang Bi(王弼) and Shao Yong(邵雍) from China and Lee Yi(李珥) and Jeong Yak-yong (丁若鏞) from Korea.
Chinese scholar Wang Bi interpreted changes in space and nature from Laotzu (老莊)’s philosophy. Wang Bi established the Zouyi philosophy of yili(義理) and fused with the philosophy that deems non-existence as significant. Wang Bi interpreted transcendental Moral Philosophy. Moreover, reason of the Zouyi was replaced with yili. As a result, Xiangshuyixue(象數學: Zouyi philosophy based on symbol and number) of the Han(漢) dynasty was eliminated and Zouyi philosophy was further simplified.
Shao Yong classified the cosmological changes into pre-heaven(先天) and post-heaven(後天) and by using binary system(加一倍法), explained the cosmological changes. Also, Shao Yong explained the philosophical thoughts through painting. Shao Yong cognized Taiji(太極: the origin of the universe) as mind and comprehended the principle of cosmological nature as a principle of mind (psychology).
Lee Yi cognized Taiji as Li(理). However, Lee Yi stated that li(理) and qi(氣) are inseparable. This cognition is different from other Korean scholars’ interpretation on relationship between li and qi. In this way, Lee Yi comprehended the fusion of Taiji and Yin Yang and thus, a new Zhouyi philosophy was established.
Jeong Yak-yong assessed the way of heaven as a cycle of natural science. According to Jeong Yak-yong, Taiji and yin and yang were qi. From this Taiji(yin and yang)’s perspective, Jeong Yak-yong criticized the analysis of Taiji and further endeavoured to examine the entire fundamental elements of Zhouyi. Jeong Yak-yong focused on the elements of the Four Saints' Reason(聖人四道) and analysed their close relationships and consequently established the cosmological perspecti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our scholars(Wang Bi, Shao Yong, Lee Yi and Jeong Yak-yong) established different Zhouyi philosophy. However, Wang Bi, Shao Yong, Lee Yi and Jeong Yak-yong studied Zhouyi philosophy from critical perspective rather than following the prevailing Zhouyi. Furthermore, the four scholars established a cosmology that was contrary to the existing interpre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