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개념사에 대한 계량적 연구를 위해 기획된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구축 과정을 소개하고, 잡지 코퍼스의 일부를 활용한 실험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개념은 언어를 매개로 표출되므로, 언어의 사용 양상을 밝히는 것은 곧 개념의 변화를 포착하는 것과 직결된다. 따라서 개념사 연구를 위해서는 통시적인 대규모언어 자원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수행되어온 24종의 개화기 잡지 코퍼스를 구축해 온 과정을 상세히 소개하면서 개화기 잡지 텍스트가 가진 여러 난제를 해결해 온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글 표기의 변환 문제, 한글-한자 변환과 관련한 문제 등이 텍스트 변환 과정에서 일으키는 문제에 대해 지적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한편 구축된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일부인 『소년』과 『창조』 텍스트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계량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개념사 연구의 계량적 접근을 위한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concern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orpus of magazines from the Korean age of enlightenment. Its purpose is to support quantitative research into conceptual history, and the results of an initial study based on a portion of the magazine corpus is also presented here. Concepts are reflected through language use, so that exploring how language usage changes reveals the history of conceptual changes. The creation of a vast diachronic language database is thus an essential tool for research on conceptual history. This paper details the process of capturing texts from 24 magazines published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discusses some problematic issues which arose. Some Korean language texts were written in the indigenous Hangeul script, and some in Chinese characters, with each presenting a variety of problems for which solutions are actively being sought. Also, as an illustrative example for further quantitative research on conceptual history, a basic quantitative analysis is provided for the terms ‘Sonyeon (boy)’ and ‘Changjo (creation),’ using a portion of the newly established corpus of magazines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