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초등학생의 식습관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ing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ating Habits
김미경 ( Mi-kyong Kim )
DOI 10.36031/KJHE.6.4
UCI I410-ECN-0102-2021-000-001117239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식습관 실태와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고, 초등학생의 식습관이 어떤 맥락에서 형성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 각각의 3개 초등학교 6학년 345명으로 1차 설문조사 후, 식습관이 좋지 않은 아동을 대상으로 추가로 면접 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 아동의 식습관은 식습관 인식, 태도, 관심 및 개선 의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개인적 요인보다 환경요인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 특히, 가정에서 부모가 아동의 식습관을 지도하는 사회적 통제의 영향이 가장 컸다. 개인적 요인은 환경요인보다 아동의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식습관에 대한 지도, 즉 보건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는 아동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 및 인식을 위해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지도할 필요가 있다. 국가·사회적으로는 아동의 식품환경을 건강하게 바꾸려는 노력과 더불어 학교에서의 보건교육에 대한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factors related to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attempted to reveal the context in which the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formed. First round surveys were conducted on 345 sixth grade students in 3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additionally on children with poor eating habit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eating habit perceptions, attitudes, interests, and improvement intentions an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were greater than those of personal factors.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social control in which parents guide the eating habits of their children in the home were greatest. The effects of personal factors on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appeared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of environmental factors. This could be related to guidance regarding eating habits, or in other words, to the fact that health education is not being properly conducted. Therefore, homes and schools should take interest in and provide steady guidance for the formation of the healthy eating habits and perceptions of children. Support for health education at schools should also be provided along with efforts to healthily change the food environments of children nationally and sociall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