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국의 청소년 우대동향을 교통수단, 문화활동, 여가시설 등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자치단체에서의 우대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우대제도에 대한 정책·제도적 함의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우대제도의 개념과 필요성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분야의 운송수단과 문화공간은 무료 이용과 할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민간분야는 프로그램의 목적과 장소, 시설 특성과 기관의 성격에 따라 제한적인 할인이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운송수단은 스쿨버스이며 교육구별로 다양한 요금체계를 가지고 있다. 미술관, 박물관, 도서관 등의 문화 공간은 무료입장 또는 할인 된 요금으로 이용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저소득층 청소년을 위한 카드제도(I CARD)나 청소년전용 레크레이션 바우처(voucher)제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인 콜로라도(Colorado) 주의 덴버(Denver)시는 마이 덴버 카드(MY Denver Card)를 통해 도서관, 박물관, 문화시설 등 대부분의 지역 내 자원들을 무료 또는 할인을 통해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연구의 함의로는 연령별 접근과 24세까지의 확대된 우대제도의 실시, 공공부문의 우선 실시와 민간부문으로의 확산, 올인원(All in One)의 통합적 운영시스템 도입, 장애, 저소득 청소년에 대한 주거복지지원 시행, 청소년참여를 통한 포용적 접근, 자치단체별 특화된 우대제도의 촉진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preferential treatment for youth focusing on the transportation, cultural activities, leisure facilities and its case of a local government in USA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n policy and institution. Research method utilized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relevant materials and examined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youth. Study results reveal the free and discount policy of transportation ride and admission to cultural spaces in public sector and limited discounts are provided in private sector by the purpose and place of programs,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and the nature of the agencies. The typical transportion relies on school bus system with diverse traffic fare by school districts. The cultural space including art galleries, museums and libraries provide free admission or reduced fees policy for youth. In particular, the card system for the low-income youth (I CARD) and recreation voucher system for youth only are identified. Also, MY Denver Card of the Denver City, Colorado is utilized for the free or discounted admission to the most regional resources of libraries, museums, and cultural youth centers. Research results imply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preferential treatment system by age up to 24 years of age, its priority implementation in public sector and its extension to private sector, an introduction of integral operation of‘All in One’system, implementation of housing welfare for low-income and disadvantaged youth, inclusive approach through the youth participation, and promotion of the specialized preferential treatment by local gover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