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5.255.200
18.225.255.200
close menu
}
KCI 등재
창작무용 프로젝트학습(Project-Based Learning) 수업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lass Model for Creative Dance Project-based Learning
이재정 ( Lee Jae-jung ) , 송미숙 ( Song Mi-sook ) , 박은지 ( Park Eun-ji )
한국무용연구 38권 2호 247-269(23pages)
UCI I410-ECN-0102-2021-600-001115819

역량중심 교육과정이 실제 학교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학생 개인이 가진 능력을 문제해결의 과정을 통해 향상시키는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더욱이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모든 교과는 학습과정중심으로 강화되었고 교과세부특기사항을 기록하고 평가하는 활동의 그 중요성이 커진 만큼 수업을 설계하고 시행하는 것은 교사들에게 매우 중요한 과업이 되었다. 이에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협동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며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으로서 활용되고 있는 프로젝트 학습을 고등학교 창작무용수업현장에 적용하고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학습을 적용한 창작무용수업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학습의 절차적인 단계를 구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설계, 중심역량,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문헌 고찰을 실시하여 초기 모형을 개발하였다. 초기 모형의 내적타당화를 위하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창작무용 프로젝트학습을 위한 개념모형과 절차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으로 신체적 영역을 넘어 인지, 정의, 사회적 영역의 발달을 위한 가치를 내면화하는 수업으로 창작무용이 체육수업 시간에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began to be applied to actual schools, it became very important to design lessons that improve individual students' abilities through problem solving. Moreover,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ll subjects were strengthened to be centered on the learning process, and designing and implementing classes became a very important task for teachers as the importance of recording and evaluating the curriculum details increased. Accordingly, research was started to apply the project learning, which is being used as a process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operative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and to solve real and practical problems, in the field of creative dance in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procedural step of learning so that the creative learning class to which project learning is applied can effectively work.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initial model was develop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design, central competency, and key elements for project learning. For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initial model, the concept model and procedure model for creative dance project learning were derived using Delphi techniques. This study is a learner-centered class, which is a class that internalizes values for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justice, and social domains beyond the physical domain. It is expected that creative dance can be utilized in PE clas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프로젝트학습(Project-Based Learning)
Ⅳ. 창작무용(Creative Dance)
Ⅴ. 연구 결과 및 결론
Ⅵ.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